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영관리 통합 SW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38컴퓨터에 맞도록 짜여진 이 SW는 융통성이 뛰어나 기업의 생산성 및 수익성 향상에 크게
기여
할 전망.이 시스팀은 생산에서 영업 재무에 이르기까지 통일된 양식을 사용하며 정보의 기밀유지가 철저하며 환율관리를 통한 가격분석기능도 갖추고 있어 기업의 종합관리에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 ... ...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홍보한다는 것을 가정할 때 이러한 상설전시장 및 교육장이 컴퓨터마인드에 어느 정도
기여
할 것인지를 금방 느낄 수 있다. 앞으로 데이콤플라자와 같은 컴퓨터광장을 지역별로 확대 설치한다면 이 효과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컴퓨터에 대해 ... ...
제 6공화국의 과학기술정책의 과제는?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 방면의 기술혁신은 생산·유통 사무의 능률, 그리고 개인생활의 편익증대 등에 크게
기여
한다. 뿐만 아니라 정치 문화적 차원에서도 지방분권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확대에 도움이 될것이다.과제와 추진방향위의 전략과 중점추진분야를 전제로 미래지향적 안목에서 과제를 도출해 보면 다음의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일일이 안내하면서 자신들의 빙하연구가 부근 항해선박 및 인접국들의 기상예보에 크게
기여
함을 자랑했다. 눈, 얼음, 바람의 대륙 남극대륙의 생태적 특성은 단순함을 특징으로 한다. 영하 수십도에다 겨울의 긴 밤, 대지를 온통 덮은 흰눈속에서 살아 날 생물이 적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나이많은 사람들에게 일찍부터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놓았다. 수소는 어디에
기여
하고 있나 1937년 5월6일 독일의 체펠린 비행선 힌덴부르크호(號)가 미국의 레이크허스트에 착륙하다 폭발하여 불타버렸다. 19만㎥의 수소가 활활 타서 36명이 사망했다.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이 사건은 언제나 ... ...
원격탐사 가장 실용성있는 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금년부터 진행중에 있으며 본 연구가 성공리에 종료되면 기상위성 응용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
할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각기관별 원격탐사기법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가.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공학센터1)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개발2) 마이크로컴퓨터 활용한 영상처리시스팀개발3)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현대의 의학은 서양과 동양의 의학이 지닌 특징과 장점에 주목하여 인류보건의 향상에
기여
하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2원적으로 존재해 있는 까닭에 '동·서 의학의 결합'을 통해 의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고 있다.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이 지닌 ... ...
한국형 모델 개발을 계기로 살펴본 전자식 도로교통 관제시스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고도의 역할도 한다. 특히 야간에는 신호 불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에너지절약에도
기여
하며 차량통행이 거의없는 심야시간 대에 불필요한 교차로 신호를 끊어 원활한 교통소통도 보장한다. 30~40%의 여행시간 단축 도로교통관제시스팀이 아무리 완벽하더라도 차량수가 도로양보다 엄청 많으면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민중건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작용했을것으로 보인다. 한 회원의 말대로 "사회적인
기여
가 직접적으로 요청되는 건축계가 민주화시대를 맞아 오랜 침묵에서 깨어나 제자리를 찾으려 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독재체제가 과학의 창의성 막아 과학기술자들의 본격적인 사회참여를 지향하는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주목하게 만들었던 거지요.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이 이론은 대통일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여
하게 될 겁니다. 또한 보다 큰 분야로서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다루는 우주론에서 우주공간 내의 물질분포를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지요." 우주의 시작은 지금부터 약1백50억년 전의 빅뱅으로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