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뛰어야겠지?’누구나 한번쯤 해봤을 생각이다. 하지만 아무리 빨리 뛴다고 해도 잡히면 끝이다. 뱀파이어가 내 피를 빨고 나를 뱀파이어로 전염시키는 데 얼마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최근 영국 레스터대 물리천문학과 머빈 로이 박사팀은 뱀파이어가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6.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관련된 문제 하나는 18세기 가장 위대한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7년 동안 매달린 끝에 증명에 성공했을 정도로 고난이도였다. 우회로를 찾아 공략하다정리 자체의 단순함과 아름다움도 수학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한몫했다. 수학의 일부 난제들은 문제조차 이해하기 힘들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마지막으로 손가락을 치켜든다. 아이아이의 가운데 손가락은 가늘고 긴데다, 끝에는 날카로운 고리가 달려 있다. 마치 낚시바늘처럼 생겼는데, 쓰임새도 비슷하다. 구멍 속으로 가운데 손가락을 밀어 넣어 애벌레들을 낚아 먹는다.새알이나 코코넛처럼 속이 액체로 된 먹이를 먹을때에도 길다란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황색, 황갈색, 녹색, 암녹색 또는 회백색까지 매우 다양하지요. 등 중앙에는 주둥이 끝에서 엉덩이까지 세로줄이 길게 나 있어요. 옆면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세로줄이 있어서 등의 무늬만 보고도 참개구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지요. 다른 개구리들에 비해 머리가 뾰족하고 고막이 뚜렷한 것도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야기에 기자는 웃음이 터졌다. 하지만 서 교수의 기상천외한 어린 시절 행보는 그게 끝이 아니었다.“예전에는 110V 콘센트를 썼어요. 그때 어른들이 그 구멍에 쇠젓가락을 넣으면 안 된다고 해서 왜 그런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넣어봤죠. 정말 죽는 줄 알았어요. 절대 따라하시면 안 됩니다. 넣지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지식을 총망라했고, 각종 인터넷 자료와 책을 찾아보며 공부했다. 그리고 몇 달간의 연구 끝에 콴다가 탄생했다. 맞춤형 공부 방법 제공이 목표!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콴다의 차이를 묻자 이종흔 대표는 “문제풀이 서비스는 첫 번째 단계일 뿐이고, IT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우리의 삶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그런 고민 끝에 교내 수학대회를 다양한 융합대회로 확장했고, 여러 가지 수학 문화 체험활동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학생들은 체험활동을 하고 나서 소감문을 쓰고, 교내대회에서 자신만의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모두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시 모여 식어서 별이 탄생할 환경이 되는 건 순식간”이라며 “퀘이사 모드 피드백이 끝난 뒤에도 별의 탄생을 지속적으로 막는 피드백이 더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래서 등장한 게 두 번째 피드백, 바로 ‘전파 모드’다. AGN에서 상대론적 제트가 방출될 때 주변이 뜨거워지면서 별이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15년, 아인슈타인은 중력과 관성력이 수치적으로 동일하다는 갈릴레이의 등가원리를 끝까지 탐구했다. 그 결과 가속되는 좌표계에서의 자연법칙은 중력장 안에서의 법칙과 동일하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이 탄생했다. 쉽게 말해 힘을 받는 입장에선 중력과 관성력을 아예 구분할 수 없다는 뜻이다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0%, 번역에는 375%가 필요하게 돼 세포가 혼자 만들 수 있는 ATP를 훌쩍 초과한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유전자가 늘어난 만큼 번역을 더 많이 해야 되고, 번역을 할 단백질 공장이 더 많이 필요하다. 단적으로 유전자에서 전사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하는 리보솜이 대장균에는 1만3000개 정도 있지만,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