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인공지능의 한계와 일반화된 지능의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피부색은 인간의 존엄성과 본질적 연관이 없지만, 인종차별주의자는 피부색을 근거로 다른 인간을 차별한다”며 “마찬가지로 ‘이해하는 느낌’ 역시 지능의 본질과는 관련이 없지만, 이를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기파, 즉 빛에 의해 매개된 것이었다. 1915년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05년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지 10년이 되던 해에 그는 속도가 일정한 관성계에서만 적용되던 특수상대성이론을 속도가 일정치 않은 비관성계에까지 확장시켰다. 중력에 관한 새로운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웬주 차이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지난해 1월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90년까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슈퍼 엘니뇨 수는 지금보다 2배나 더 많다. 14~18년에 한 번씩 발생하고 있는 슈퍼 엘니뇨가 미래에는 7~9년에 한 번씩 찾아온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기후 예측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일반상대성이론이 충돌한다고 여겨서, 적극적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의 모순성을 공격하는 논문이 발표됐다. 일반상대성이론의 네 가지 해석하지만 정치사회적 선입관을 떠나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였다. 적어도 네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구팀이 밝혀낸 사실은 친밀도가 실제로 구매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논문에서 친밀도에 큰 가중치를 부여한 새로운 추천 알고리즘, 프리아마시(PReAmacy)를 제안한 이유다.페이스북은 진작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좋아요’, 댓글, 태그, 공유 행위를 분석해 사용자 간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스티븐 쿡, 1972년 리처드 카프, 1973년 레오니드 레빈이 각각 결정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의 주제는 주어진 문제를 컴퓨터로 얼마나 빨리 풀 수 있는지를 다루는 ‘P-NP’ 문제로,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난제다. 이 추론에 따르면, 어떤 문제는 입력 데이터의 크기가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스티브 오모훈드로는 지난해 4월 10일 학술지 ‘실험 및 이론 인공지능’에 발표한 논문에서 “현대 사회는 군사적, 경제적 압력으로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도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자율 시스템을 끝없이 요구한다. 이런 시스템은 사이버 범죄를 통해 자원을 획득하거나, 설계 제한 사항을 제거해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용해 치료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영국의학전문저널 ‘랜싯(Lancet)’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메르스에 걸린 환자에게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과 인터페론제 ‘페가시스주’를 투여했을 때 생존자 수가 2배 가량 늘어났다. 완치된 사람의 혈장을 투여하는 ‘혈장주입치료법’도 ... ...
- 당신의 박사학위는 발레? 힙합?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문적인 박사학위 논문은 웬만한 설명이 있어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이것을 춤으로 표현한다면 어떨까. 미국과학진흥협회(AAAS)는 박사 학위 기간 동안 연구한 내용을 춤으로 표현하는 ‘당신의 박사 학위로 춤추라(Dance Your PhD)’ 대회를 5월 22일부터 10월 28일까지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명 소설가의 표절 논란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정치인들의 학위 논문, 유명 가수의 신곡, 대학 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까지, 표절 논란은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다. 국내 최초로 한글 기반의 표절 검사 알고리듬 ‘디박(DeVAC)’을 개발한 조환규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라면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