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시작한 바닷물은 약 1000년을 주기로 전세계 바다를 한 바퀴 순환하지요. 해류는 우리 생활에도 영향을 미쳐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기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거예요. 지구는 위도에 따라 태양 에너지를 다르게 받아요. 적도 지방은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극지방은 적게 받지요.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주하는 음악은 최대 100m 정도까지밖에 퍼지지 못해요.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는 자신의 생활공간 안에서만 음악을 연주하기 때문에 다른 개체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지요.왜 음악을 연주하는 거니?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는 수컷만 음악을 연주해요. 오직 주변에 암컷이 있을 때만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주도한 신 교수는 “현재 대부분의 측정기가 건물에 설치돼 있어서 미세먼지가 생활 매연 때문인지 해외로부터 비롯된 건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며, “드론을 이용해 낮은 고도와 높은 고도의 미세먼지를 동시에 포집하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미국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5화] 액체를 고체로 변신시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우리 주변의 물질은 고체와 액체, 그리고 기체 등의 상태로 존재해요. 하지만 물질이 이중 한 가지 상태만을 유지하는 건 아니랍니다. 단단한 철도 뜨거운 용광로에서 녹아 액체가 될 수 있고, 기체인 산소도 아주 추운 곳에선 액체나 고체로 변할 수 있지요.세 종류의 물질 상태는 여러 가지 방법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1995년 일본 고베에서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피난민들은 반 시게루가 지은 임시 집에서 생활했어요. 이때 집 한 채를 짓는 덴 200만 원도 안 들었지요. 또한 2013년엔 종이 기둥을 사용해서 지진으로 무너진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오른쪽 사진)을 복구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런 공로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나비로 자라기 전 상태인 번데기, 번데기가 실로 싸여 있는 고치까지…. 곤충의 다양한 생활사를 한번에 볼 수 있었지요.나비 표본을 들고 있는 이준이 학생. ▶애벌레를 관찰하기 위해 박사님이 케이지 문을 열자 안에 있던 나비가 숲속으로 날아갔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나비를 놓쳤다며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자라게 했지요. 바로 여기서 돌리가 태어났답니다.돌리는 6년 간 다른 양들처럼 정상적인 생활을 하며 새끼도 낳았어요. 하지만 심한 관절염과 폐암에 걸려 2003년 2월 14일, 안락사를 당했지요. 현재 돌리의 사체는 박제된 상태로 영국 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에 전시돼 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안 되거든요. 게다가 몸 크기는 최대 1m 정도인데, 체중은 4kg 정도나 된답니다. 땅에서만 생활하면 몸을 가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늘을 날아다니는 가마우지 종과 비교하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편이지요.왜 날개를 펼치고 있는 거야?우리는 잠수해서 먹이를 구해요. 과거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강물이 불어 작은 초가집 마당까지 물이 철철 넘쳤다고 해요. 단종은 이곳에서 짧은 유배 생활 끝에 17살의 나이로 죽고 말지요.영월에는 청령포 외에도 한반도의 모양과 꼭 닮은 선암마을을 비롯해 굽이굽이 이어지는 곡류 지형들이 많이 있어요. 굽은 강과 높게 솟은 산이 어우러져 뛰어난 경관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익명에 가려진 사생활이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도 얼굴로 성정체성을 판별해내는 AI를 개발해 논란이 됐다. 이외에도 얼굴만으로 성격이나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특징을 알아낼 수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