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손에 쥐는 편이 상대의 심장을 찌르는데 유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을지 모른다. 그래서
오른쪽
을 더 선호하는 돌연변이나 생존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됐을 것이다. 지금까지 열거한 내용으로 볼 때 생물체의 대칭성은 일차적으로 생물분류에 중요한 요소이다. 왜냐하면 몸의 대칭성을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조각가는 이 작품의 안정을 위해 머리를
오른쪽
으로 돌려놓아 전체적으로 신체구조가 완만한 ‘S’ 곡선을 그리도록 했는데, 이것을 ‘대비’(contrapposto)라고 한다. 이 조각은 고졸기의 청년상이 지닌 정적인 대칭과 달리 사지가 긴장과 이완이 교체하는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뭉뚱그려 한통속으로 표현하는 일이 많다. 반달만 하더라도 과학에서는 그것이 상현(
오른쪽
반달)인지 하현(왼쪽 반달)인지 구별해야 한다. 그러나 일상에서는 그저 ‘반달’ 해버리고 만다. 동요 ‘반달’에서 “낮에 나온 반달은 하얀 반달은/ 해님이 쓰다버린 쪽박이래요”로 표현된 반달은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험해 훨씬 다양한 자세와 표정이 나올 수 있었다. 화가들은 당연히 의도적으로
오른쪽
얼굴을 그리려고 시도했다. 서양이 우리의 초상화에 비해 좌측 편향을 덜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위치를 측정해 구할 수 있다. 우리들이 눈앞에 있는 것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도 뇌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서 보이는 것이 다른점을 이용해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상의 두 지점의 관측을 통해서는 구할 수 없다. 별까지의 거리는 대단히 멀어 시차가 너무 작아 관측을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내집 수리하기’를 클릭하면 계정에 저장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각 파일의
오른쪽
에는 파일 형식과 용량이 소개된다. 기능란을 이용하면 해당 파일에 대한 삭제, 편집, 이름변경, 복사 작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ndex-2.html 파일을 지우려면 index-2.html 난의 삭제를 클릭하면 된다. 또한 직접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리우스 다음으로 가까이 있는 별이다.시리우스를 정점으로 V자 형태로 역 정삼각형
오른쪽
에 베텔규스와 왼쪽에 프로키온이 겨울의 대삼각형을 그린다. 남중해 있을 때는 정삼각형 모습이지만 동쪽에서 떠오를 때와 서쪽에서 가라앉을 때는 조금 찌그러져 보인다. 각 별의 실제 각거리는 ... ...
2000년은 21세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경우가 있다.이유는 다음과 같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알파벳을 숫자로 사용했다(표2).
오른쪽
표와 같이 각 문자에 수를 할당하고 이것들을 병렬로 나열해서 수를 나타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ι γ = 13λ α = 31ψ μ β = 742그래서 각 단어는 그에 대응하는 수를 나타낼 수도 있었다. 아멘(amen)을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아니고 지구에서 볼 때 같은 방향에 있을 뿐 훨씬 가까이 있는 별이다. 알데바란의
오른쪽
에 놓인 테타별은 흰색과 노란색을 띤 3등성과 4등성이 약 6분 떨어져 있는 이중성으로 쌍안경으로 보면 꽤 예쁜 별이다.이 밤하늘 여행이 끝날 즈음 사자자리가 동쪽하늘에서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가리킨다.대부분의 공룡들은 머리 양쪽 옆에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왼쪽과
오른쪽
지역이 겹쳐 보이지 않는 단시력(monocular vision)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넓은 주변지역을 볼 수 있지만 거리를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이에 반해 거리를 잘 판단할 수 있게 앞으로 향한 눈은 시력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