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착
쥐기
잡기
쥠
해독
번역
판독
d라이브러리
"
파악
"(으)로 총 3,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돌고래는 뛰어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궁금히 여긴 영국 사우스햄튼대의 팀 레이튼 교수는 돌고래가 초음파를 이용해 위치를
파악
한다고 생각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그는 정어리가 든 커다란 수조에 거품벽을 만들고 돌고래가 내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켰다. 하지만 이 초음파는 거품벽에 의해 흩어져 반사돼 돌아왔고, 레이튼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좀비화의 속도를 크게 좌우한다. 이때 사람들의 인맥은 ‘에르되시 수’를 이용해
파악
할 수도 있다.에르되시 수는 몇 단계에 걸쳐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수다.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가 논문을 공동으로 쓴 사람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 연구했다.폴 에르되시 자신은 0,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 주제로 색다른 물리학 책을 새로 썼다. ‘보이지 않는 세계’다.주로 눈으로 정보를
파악
하는 동물인 우리는 탐구 대상이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원자)가 되자 혼란에 빠졌다. 불과 130년쯤 전, 음속의 단위로 우리와 친숙한 유명한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마하라는 단위가 여기서 ... ...
검진이 끝? 해석까지 해야 제대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금부터 일상암호문해독서와 함께 건강검진결과표를 펴놓고 제대로 내 건강 상태를
파악
해 보자.백혈구 수치와 비율 모두 눈 여겨 볼 것 백혈구는 외부 항원의 침입을 막는다. 종류가 다양한데 그 중 호중구는 세균 등의 항원을 잡아 죽인다. 호산구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히스타민 등을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노하우를 아는 선배의 마음을 얻는 것도 중요하다. 선배가 좋아하는 음식 정도는 훤히
파악
하고 있어야 했다. 또한 관심 분야를 연구하는 박사님을 학회장에서 만나면 무조건 달려가 필자가 원하는 기술을 배우기 위해 매달리기 일쑤였다. 사실 지도교수님으로부터 연구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왼쪽에서 짧게 한번만 진동을 준다. 조종자는 개의 위치와 움직임을 GPS를 통해 정확히
파악
한다. 지난해 초 오번대의 실험에서는 개가 명령의 99%를 정확히 수행했다.이렇게 훈련된 개는 마치 로봇처럼 사람이 하기에는 위험한 일에 투입된다. 폭탄 탐지나 약물 추적, 강력범죄자 추적 등이다. 현재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네트워크의 연결이 부실하다고 한다. 따라서 현실을 과거와 미래의 맥락에서 제대로
파악
하지 못하고 타인에 대해서도 무관심하다.반면 정신분열증은 디폴트 네트워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 상태다. 그 결과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은 위축되고 내부에서 스스로 왜곡된 정보를 생성해 환시나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잡지에 사진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시각 자료다. 사건이나 현상, 개요 등을 한눈에
파악
하도록 시각화해 독자들이 알고 싶은 정보를 담는다. 습득해야 할 정보가 많은 현대 사회에서 글보다는 사진이나 시각 자료를 보고 빠르게 이해하려는 요구에 맞춰 인포그래픽은 최근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
미래에는 비밀번호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을 거래요.미국 국방부에서는 지난 3월 18일 비밀번호 대신 사람이 타자를 치는 습관을
파악
해 저절로 로그인하는 프로그램 ‘인지 핑거프린팅’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답니다. 과학자들이 이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 이유는 비밀번호가 새어 나가면 개인 정보뿐 아니라 기업이 개발한 기술이나 ...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또 이마에 있는 ‘멜론’이라고 하는 지방층에서 초음파를 발사해 지형과 먹이를
파악
하는 돌고래의 특징도 똑같이 가지고 있답니다. 상괭이가 우리 나라 인어라고?상괭이를 인어라고 부르기 시작한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 전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요. 유명한 조선시대 학자 정약전은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