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0.02.09
- 회장, 대통령직인수위 자문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그는 전공인 생물학을 기반으로 생명 공학을 육성할 방법에 대해서 평소의 생각을 피력했다. ●연구와 산업의 불균형 해소하기 위한 중계개발(B&D) 필요 이 원장은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의 연구 수준에 대해서는 일단 후한 ...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2009.12.14
- 자연자원대학 생명공학원 객원교수 1997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998년 한국생물공학회 국제협력이사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단 단장 2006년 (현)유러피안 바이오피직스 저널(European Biophysics Journal) 편집위원 2007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연구본부 본부장 2008년 (현) ...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2009.10.13
- 해야 한다. 이상경 교수는 1993년 경희대 유전공학 학사 1996년 미국 뉴욕시티대 분자생물학 석사 2000년 미국 뉴욕시티대 세포면역학 박사 2000년~2004년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교수 2004년~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2005년~현재 한양대 생명공학과 부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2009.09.12
- ▽최경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위원=신약 개발비용을 따질 때 화학적 조성인지 생물학적 조성인지를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 이미 몸에 있는 것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은 화학적인 공정을 거치는 것보다 적은 비용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화학물질로 약을 만든다고 했을 때는 그 물질에 ...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2009.05.06
- 밝혀내는 것이지요.” 방대한 의료자료와 잘 발달된 정보기술(IT). 방 교수는 “시스템 생물학에 최적 환경을 갖춘 곳이 바로 한국”이라며 “새로운 연구기법으로 세계와 당당히 겨룰 날을 꿈꾼다”고 말했다. 방사익 교수의 ‘이것만은 꼭!’ ○의사가 의료현장에서 필요를 느낀 연구를 할 수 있는 ...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2009.04.14
- 때 신약관련 사업의 국가차원 육성이 필요하다”면서 “신약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미생물, 식품, 사료, 화장품, 환경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대한 산업 육성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에서도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연구만 해선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서 ...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2009.04.14
- "페니실린 발견은 영국이 했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것은 미국이다. 구연산을 팔던 화이자는 페니실린 대량 생산에 성공해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화이자의 뒤에는 원자폭탄 개발에 맞먹 ... 상무, 배은희 한나라당 국회의원, 브라이언 김 셀트리온 수석부사장, 이선복 한국생물공학회장 ...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2009.04.07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2008~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BT협의회 위원 2009~현재 한국생물물리학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2009.03.25
- 국립신경과학연구소가 있지만 최근 체제를 개편하고 있다. 뇌 질환에 치중했던 분야에 생물학, 공학, 인지과학 분야를 융합하기 위해서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뇌 연구를 시작한 중국도 성큼 앞서나가고 있다. 중국은 1999년 상하이에 독립적인 신경과학연구소를 세웠다. ...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2009.03.16
- 같은 명확한 상이 제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입주기 업을 분석해 보면 생물 분야 특허가 많지만, 오송단지의 육성 전략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며 “아직 입주 기업간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방안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병원과 의사를 유치할 계획은 구체화되어 있지 ... ...
이전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