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부정적인 조직 문화에 휩쓸리지 않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수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장UST-KIGAM 캠퍼스 대표교수KIGAM 여성과학기술인총괄담당관WISET S멘토 버려진 석탄재를 재활용한 ‘지오폴리머’이 센터장은 광물에서 금속이 얼마나 어떤 형태로 들어있는지, 금속 추출 공정이 효율적인지, 광물 자원이 환경에 영향을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공존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하는 능력을 뜻한다. 하호경 인하대 해양과학과 교수는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능력을 키운다면 데이터로부터 해양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해 현대사회에서 해양의 중요성을 알아갈 수 있을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입을 ... ...
-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Part.1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Part.2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Part3. [특집] XR,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다!Part4.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 ...
-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어떤 서비스가 메타버스인지는 다양한 의견이 있어요.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의 우운택 교수도 “제페토 등은 메타버스의 일종”이라면서도, “아직 엄밀한 의미에서 제대로 실현된 메타버스는 없다”고 말했어요. 지금의 서비스들은 현실과 끊어진 가상세계에만 머물러 있는 데다 사용자가 제페토와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만에 모두 팔렸다. 반면, NFT는 부족한 점도 있어요. 강원대학교 산업공학과의 김상균 교수는 “NFT로 소유권이 생겨도 제페토에서 산 옷을 로블록스에서 사용할 수 없다면, 혹여나 제페토가 문을 닫을 경우 사용자들의 재산이 보장되기 힘들다”며, “기업이 사용자의 소유권을 보호해주도록 정부 ... ...
- [기획]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남은 2년, 대책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남은 2년, 대책은?Part1.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로 흘려보낸다?Part2.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Part3.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없다고 했다는데 사실인가요? ●인터뷰서균렬(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 백도명(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박현선(해양환경단체 시셰퍼드 대표) “불확실성이 큰 만큼 더 조심해야 해요.” 오염수 방류가 안전에 문제는 없을까요? 서 ▶오염수엔 많은 방사성 물질이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등은 이전에도 여러 번 수상한 전통의 강호, 일본 메이지대학교의 코키치 스기하라 교수가 만든 ‘끝없는 계단!’ 개인적으로는 2등 수상작품이 더 웃겨요…. 내가 이런 착시에 속다니! 풍력 발전기, 이렇게 설치한다! 조회수 : 2113만 회채널명 : Quantum Tech HD (구독자 수 : 862만 명) 강원도나 ... ...
- [가상 인터뷰] 중생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가 25억 마리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중 한 마리 꼴이지. 작은 뼛조각 등이 발견된 것까지 포함해도 100마리가 되지 않아. 마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화석을 발굴할 때 화석으로 남지 못한 개체들이 얼마나 많은지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로 흘려보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보관 탱크를 늘리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어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도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를 갖기 때문에 보관이라는 대안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그 사이 단계적으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을 연구하는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