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4억2천8백만년 전 세계 최고 육상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몰아치는 곳이 아니라 적도에 가까이 위치해 있어 따뜻하고 습기가 많았다고 한다.고
생물학
자인 서울대 최덕근 교수는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육상동물은 5-6억년 전에 출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앞으로 더 오래된 육상동물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배열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생물의 광구조 연구가인 파커 교수는 “이 무지개색의
생물학
적 기능은 아직 모르지만, 아마도 서로를 알아보거나 짝짓기하는데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생명체들은 언제부터 이처럼 화려한 광구조를 지니게 됐을까. 파커 교수는 약 5억년 전 있었던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용되는 주재료다 반도체는 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하나다 in silico biology는 앞으로
생물학
의 주된 연구들이 컴퓨터 안에서 이뤄질 것을 상징하는 용어다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다 아미노산끼리는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돼 폴리펩티드 사슬을 이룬다 바로 이 폴리펩티드 사슬이 단백질이다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계라는게 오 교수의 생각이다.“줄기세포 연구가 열매를 거두려면 기초분야, 즉 분자
생물학
연구가 뒷받침되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가 췌장세포로 변하게 하는데 관여하는 생체분자들이 무엇인지, 그것들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를 밝혀내야죠.”따라서 오 교수팀에서는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진행될 수 있다” 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이 가설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세포
생물학
’ 2월호에 커버스토리로 게재됐다. 베일에 가려져 있던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의 역할을 상세히 규명해냈다는 점에서 학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번 살이 올라 잘 빠지지 않는 부위들도 있다. 아랫배와 엉덩이, 허벅지 같은 곳들이다.
생물학
적으로 이 부분은 우리 인체가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방을 저장하는 곳이다. 따라서 웬만한 운동이나 다이어트로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이런 부분의 살을 쉽게 뺄 수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받는지를 표시하는 단위로, 1시버트는 1그레이의 감마선을 쐬었을 때 인체에 나타나는
생물학
적 영향을 말한다 밀리시버트는 1천분의 1시버트다축전기라고 하며,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을 말한다 두개의 도체로 둘러싸인 공간에 전하를 가둬 축전용량을 얻고자 할 때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유전자다. 자신이 전달되는 경로를 스스로 차단하는 셈이다. 이는 글루코코티코이드의
생물학
적 효과를 첫 단계에서 차단하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궁중에서 썼던 목욕용품 등은 상품으로 개발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생각이다.실제로 그는
생물학
연구소의 신약개발팀에 참여해 조선시대 약물치료법을 전수한 적도 있다. 의학서를 연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약효를 직접 실험까지 해본다고 하니 과학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제거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미국 위스콘신대의 프레드 블래트너 박사와 헝가리
생물학
연구소의 게오르기 포스파이 박사도 스카랩 지노믹스란 회사를 차려 실험실에서 흔히 쓰는 대장균(K12)과 병원성 대장균(O157) 의 게놈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약 20%의 게놈을 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