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d라이브러리
"
제어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필요한 자원이용기능(예로써 파일전송 데이터베이스이용 등)과 컴퓨터네트워크 운영
제어
에 필요한 네트워크 관리기능(개방시스템이나 물리매체 등에 대한 장애관리 구성관리 등)을 제공해준다. 이 계층은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가장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이라 할 수 있다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또 대륙의 미소(微小)거리 이동측정이나 전파천문학 그리고 우주공간의 우주선 추적
제어
에 초장거리 간섭계(VLBI) 원리를 이용하는데, 여기에는 수소메이저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그리고 컴퓨터기술 정보산업 전자통신기술의 발달로 전세계를 하나로 묶는 정보통신에도 활용된다. 제한된 주파수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단순히 결함의 유무만을 판정하는 기술이 아니라 자동화된 첨단 생산라인에서 공정을
제어
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으며 신소재를 개발하고 설계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기술이 될 것이다. 대형사고의 안전핀비파괴 검사 기술은 미국과 독일 및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 공동체(EC)가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계속하고 싶어 안달이 날 정도니까요. 또 이와는 조금 성격이 다르지만 서울공대
제어
계측과에서 매년 개최하는 마이크로마우스 경진대회에 출품하려고, 학과공부는 뒷전으로 밀어놓고 스텝모터 대신에 직류모터를 사용한 로봇을 제작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결국 입상도 못했고 학점도 떨어졌지만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블랙박스는 원래 '어떤 입력(input)을 주면 그에 따른 출력(output)을 내는 장치'를 가리키는
제어
공학용어. 그러나 항공기의 자동운항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에 관한 주요 자료들을 수록한 작은 상자를 흔히 블랙박스라 부르게 됐다. 블랙박스는 검은색이 아니라 보통 표면 색깔이 주황색이거나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② 보조기억장치를 추가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장치와 디스크에 접근해 자료를 기록하거나 읽어내는 일을 수행하는 전자회로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디스크를 디스크드라이브에 넣으면 디스크 표면과 PC본체와의 대화가 가능케 된다. 플로피디스크와 디스크드라이브의 관계는 실과 바늘의 존재와도 같다고 할 수 있다.FDD가 1개뿐인 PC에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전자공학분야에서는 인민경제의 자동화 로봇화 전산화를 위해 전자자료 전자소자 수치
제어
공장기계 로봇 등의 연구수준을 높인다는 것이다.생물학분야에서는 의식주문제의 해결을 위해 현대생물학의 성과를 농업과 축산업에 적극 받아들여 바다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세포공학 유전공학 등 ... ...
92년에 국산실험위성 우주진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개발한다.과학로켓은 시스템 및 구조설계, 고체 및 액체 추진기관, 발사 및 유도
제어
기술개발로 구분하여 추진, 1단계로 한반도 공간관측용 로켓을 개발하고 2단계로 위성발사를 위한 중형로켓 실용개발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이런 기본구상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의 하나가 '코샛'계획이다.6억원이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1980년대 들어 소형 컴퓨터와 전자센서의 급격한 발전으로 자동
제어
장치와 자동견인력장치의 출현이 가능하게 됐는데 이들 장치에 들어가는 컴퓨터칩과 하드웨어는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기억용량도 증가할 것이다. 현재 자동제동장치와 자동견인력장치는 고가장비여서 ... ...
표준한글코드, 문제점은 없는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아니다. 그러나 컴퓨터 내부에서는 낱개의 한글 자소와 한글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제어
문자가 기억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컴퓨터는 한글 자소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글자를 보여주어야 한다.'n 바이트형'의 문제점은 한글을 기억하는데 너무 많은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사람에 비유한다면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