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열심히 붙이고 있다. 작아서 잘 보이지 않아 가까이 다가갔다. 가로세로 1cm, 엄지손톱 크기의 태양전지 셀이다.이들은 셀을 길게 한 줄로 배열한 뒤 전류를 흘려 보내 전압을 측정했다. 한 학생이 상기된 목소리로 소리쳤다.“3볼트(V)가 훌쩍 넘네. 이 정도면 충전하는 데 문제없겠어.”7월 12일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귀멀지 않은 미래에는 3D 프린터로 찍어낸 실제 크기의 귀를 사람 몸에 이식할 수 있지 않을까. 강현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연골 세포를 귀 모양으로 3D 프린팅해 동물실험까지 성공했다.doi : 10.1038/nbt.3413 연구팀은 ... ...
- [Career] 유기물과 무기물 섞어 스마트 소재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금속이온과 유기리간드가 배위 결합을 통해 규칙적으로 결합돼 있다. 나노미터 크기의 무수히 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 알려진 다공성 소재 중 표면적이 가장 넓다. 현재 7만 개 가량의 금속유기구조체가 밝혀졌으며, 이중에는 1g의 표면적이 7000m²로 축구장 면적에 맞먹는 ... ...
- [과학뉴스] 딱정벌레가 가르쳐 준 하얀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셀룰로스를 이용해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섬유를 만들었어요. 이후 각기 다른 크기의 섬유를 불규칙하게 쌓아서 딱정벌레의 껍데기 구조를 재현했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흰색은 연구팀이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보통의 종이보다 20배 정도 밝아요.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실비아 비놀리니 박사는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돌고 있는 외계행성 7개를 한 번에 발견했어요. 이 행성들은 암석으로 이루어졌고, 크기와 질량이 지구와 비슷해 제2의 지구로 꼽히고 있지요. 마지막으로 길렘 앙글라다-에스쿠데 교수는 2016년 지구와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인 ‘프록시마b’를 찾아냈어요. 작년 12월 NASA는 2069년까지 프록시마b가 ... ...
- Part 3. [스마트 바퀴2] 스스로 치료하고, 전기 만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아서 바퀴의 바람이 빠져 나가지 않지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지름 5mm 크기의 구멍을 스스로 메울 수 있고, 이 상태로 50km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답니다. 도로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바퀴!타이어에 부착된 센서가 도로의 상태를 파악해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바퀴도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래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롯데월드타워에는 주사위만 한 크기로 성인 남성 10명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쓰였다. 메가기둥 구조에 코어 벽과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해 주는 ‘아웃리거 구조’와 트러스★를 이용해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하는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재생한다. 이후 계측된 정보를 통계 프로그램과 대조해 뼈의 길이, 두께, 두개골의 크기 등 정보를 확인하고 인종을 파악한다. 생전 사진과 복원된 뼈의 모습을 비교해가며 신원을 확인하는 시도도 가능하다.X선 치아 파노라마 장비 등을 이용해 치아를 정밀 분석하기도 한다. 분석 결과는 유가족의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빙과류로 불리는 일부 아이스크림은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이는 얼음결정의 크기 때문입니다. 유지방 함량이 높은 아이스크림은 얼음결정의 지름이 35~55μm이지만, 유지방 함량이 0%에 가까운 빙과류는 얼음결정의 지름이 55~70μm로 큽니다. 그래서 부드럽기보다는 단단하고 아삭한 얼음 질감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두 개의 금줄을 등에 지닌 금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둔해서 주변에 있는 먹이를 잘 발견하지 못하고, 천적에게도 쉽게 잡히거든요. 또 몸 크기가 비슷한 참개구리는 150cm 정도를 펄쩍 뛰는 반면, 금개구리는 고작 60cm밖에 뛰지 못한답니다. 게다가 울음 주머니가 다른 개구리보다 덜 발달돼 있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해요. 그 대신 ‘딱그르르,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