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5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의 밤하늘이 위험하다" 새해 수 천대 위성 발사 앞두고 천문학자들 또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내놨다. 하지만 전세계에서 차별없이 인터넷을 사용하겠다는 원대한 꿈은 최근 천문
학계
의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클레멘츠 교수는 인터뷰에서 "어두운 밤 하늘에 지나가는 인공위성은 밝은 흰색 줄무늬를 긋는 것처럼 보인다"며 "이것은 별이나 행성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관측하는 ... ...
천문학자·우주과학자 75인 집필한 검증된 온라인 천문학 백과사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편찬위원회장(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은 "신뢰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천문
학계
에서 객관적으로 인정받는 내용을 명료하고 정확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천문학 백과사전 집필진은 용어표기를 통일하기 위해 ‘우주배경복사비등방성’처럼 붙여 쓰기를 원칙으로 하고, ... ...
뱃살 빼려면 7시간 이상 자고 지방도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심각할수록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학계
에서는 이미 수면 부족이 복부비만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보고돼 있다. 수면이 부족하면 혈중 식욕억제호르몬인 렙틴의 분비가 감소하고 식욕증가호르몬인 그렐린의 분비가 증가해 평소보다 식욕이 늘어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특징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바이오가공' 11월 27일자에 발표했다.
학계
에서는 현재 이렇게 여러 방식으로 인공장기를 개발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인공장기를 환자에게 이식했을 때 장기가 제 기능을 해야 하고, 면역거부반응 등 환자에게 치명적인 부작용이 일어나지 ... ...
韓·中 3년만에 과기공동위 재개…"바이오 경제 함께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과제도 선정해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한‧중 과기공동위 개최기간에는 두 나라
학계
, 연구기관 등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제7차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도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글로벌 과학기술정책(STI) 프론티어로의 도약을 위한 한·중 과학기술 협력을 주제로 바이오, ... ...
평행선 달리는 한방난임치료 논란…환자들만 혼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해결하기 위해서 현대의학과 한방 간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 의
학계
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입장이었다. 류 교수는 “지난해 미국의사협회지(JAMA)에는 침 치료와 IVF를 병행했을 때 출산 성공률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며 “한방 치료로 인해 건강한 아기 ... ...
진주서 발견된 고대 파리화석에 싸이 '강남스타일' 학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발표했다. 이 화석은 백악기 이전 한반도 진주층에서 발견된 파리목 화석으로
학계
에 보고된 것은 처음이다. 남 교수는 “논문 주저자인 크라모프 연구원이 한국하면 떠오르는 것이 강남스타일이라며 여기서 이름을 따서 학명을 짓자고 했다"고 말했다. 부치나토르미야 강남아이라는 학명에서 ... ...
음식알레르기치료제·부작용 없는 허리통증 치료기술…2020년 기대되는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효과가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기고 중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학계
에서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약물이나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폐루프 척수신경자극술은 척수에 전기 자극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이식해 만성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뇌와 척수에서 이동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2010년 시작됐는데, 당시는 FRB가 2007년 처음 관측되면서 새로운 천체 미스터리에 관한
학계
의 관심이 쏠리던 때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가진 감도와 광시야가 FRB를 관측하는 데 이상적이라고 봤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FRB 관측에도 유용할 수 있도록 주파수 1만 6000개에서 초당 100 ... ...
美 뉴욕에서 가장 오래된 '숲'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모습이 현재의 나무 뿌리와 닮았다. 크리스 베리 카디프대 지구해양과학과 교수는 "
학계
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뿌리가 발달한 나무가 등장했을 것"이라며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식이 이미 발달됐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탄탄한 뿌리 시스템을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