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올해 처음 선보이는 학과, 어떻게 뽑을까
과학동아
l
2014.11.26
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소프트웨어
학부
가 특별히 바라는 인재상이 있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열정이 있는 학생. 그리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학생. 이과생 중에 수학을 조금 못하더라도 논리에 자신이 있다면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다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과학동아
l
2014.11.25
여름방학에는 특허등록과정을 가르쳐 학생들의 기술개발과 창업을 돕는다. 소프트웨어
학부
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트랙 외에도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시스템소프트웨어 트랙과 보안전문가가 될 수 있는 정보보호 트랙이 있다. 평소 소프트웨어에 관심이 많았던 ... ...
[대구/경북]기초
학부
1학년 ‘FLOW’팀 大賞
동아일보
l
2014.11.19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가 최근 마련한 제1회 기술기반 모의창업경진대회에서 기초
학부
1학년 학생 3명이 대상을 차지했다. 주인공은 신민호 김종우 신준녕 씨가 구성한 ‘FLOW(플로)’ 팀. 이들은 가상현실 장비에서 흔히 발생하는 멀미를 해결하기 위한 ‘가상현실 몰입감 보조 장비’ 아이디어를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2014.11.18
사회기술혁신연구소의 연구 프로젝트로 시작됐다. 서 씨를 포함해 KAIST 기계항공시스템
학부
조성현(3학년) 최종훈(2학년) 김원회 씨(2학년)와 영국 옥스퍼드대 김동진 씨(3학년) 그리고 독일 디자이너 등 6명이 개발에 참여했다. 서 씨의 친구인 김동진 씨는 방학을 맞아 귀국한 뒤 이 팀에 합류해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했다. 서울 시내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UNIST에 진학한 장해성 씨(친환경에너지공
학부
3년)는 “새벽에 가막못을 보며 최고의 과학자가 되겠다는 의지를 다진다”며 “입학 당시 학교와 내가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조금씩 실현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가까이서 만난 그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라는 또 다른 모습도 가지고 있었다.
학부
강의에서 그는 ‘약육강식’이 아닌 ‘약자의 전략’을 이야기했고, 평생교육원 강의에서는 ‘바람기’를 주제로 생물학을 소개하기도 했다. 또 생물학과 미디어 아트의 연결점을 찾아내기도 했다. 이런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ESS는 터를 닦는 토지 공사가 한창이었다. 카를릴레 고문은 “룬드대 물리
학부
와 의
학부
는 아예 SVS로 캠퍼스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며 “SVS는 생명과학, 화학,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연구자들을 룬드로 끌어모으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SVS는 가속기와 연구소가 합쳐진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공간기억에 더 중요하다는 것. 중간에 가정을 꾸리느라 그랬는지 두 사람은 1990년에야
학부
졸업을 했고 안데르센 교수 밑에서 1995년 나란히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박사후과정으로 이번에 공동수상자가 된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존 오키프(John O'Keefe) 교수 실험실에 들어갔다. 오키프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이용해 메조다공성물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학부
시절부터 석·박사 과정 모두 유 단장의 지도를 받은 김지만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는 “초고 해상도 형광현미경이 널리 쓰이면서 올해 수상의 영예를 안은 것 같다”며 “메조다공성물질도 조만간 2차전지나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인은 태양 정도 크기의 항성에서는 아예 만들어지지 않는다. 구본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1만1000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A 초신성의 잔해에서 대량의 인을 발견했다. 관측된 인의 양은 우리 은하에서 일반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양의 100배에 달했다. 구 교수는 “인간을 포함해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