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스페셜
"
구조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5년 4일에서 2016년 60일로 급증했다.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열대야 일수가 늘어나는 것처럼
구조
적인 문제가 피부에 와 닿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중년층 헌혈을 장려해야 한다지만 수혈 수요가 높은 노인 인구는 한동안 계속 늘 것이기 때문에(65세 이상이 2015년 654만 명에서 2050년 1881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이미 늦었다. 1980년대 초 클락슨대로 자리를 옮겨 안정을 되찾나싶었는데 학교가
구조
조정에 들어가면서 1990년 교수직을 잃었다. 그 뒤 학계를 떠나 25년 동안 고등학교에서 수학과 과학을 가르치며 살다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은 것이다. 로스배시 교수는 부고에서 자신들이 per 유전자를 규명하는데 ... ...
세포의 운명 결정짓는 ‘지문’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0.09
연구의 발전을 소개했다. 에드 레인 미국 앨런뇌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이 기술이 뇌의
구조
와 각 부분별 기능을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알츠하이머 등 뇌질환 치료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리란 전망을 내놨다. 또 가빈 켈시 영국 바브라함연구소 연구원은 단일세포분석과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
구조
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생성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교수의 백두산 생성 가설은 자오 교수가 부인한 판
구조
론에 근거한다. 그의 가설은 이렇다. 약 7000만 년 전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이 충돌해 그 힘으로 유라시아판과 그 아래 위치한 맨틀이 동쪽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때 판이 이동하면서 여러 균열(단층)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세포 내로 침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병원성은 숙주의 선천면역계를 교란하는 비
구조
단백질(NS)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이미 병원성이 꽤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만일 전염성까지 높아진다면 사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도 있다.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깊은 곳에 묻힌 ‘슈퍼 카미오칸데’는 높이 40m의 거대 수조에 정제수 5만t을 채운
구조
다. 반면, SNS는 두께 20m의 콘크리트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개를 빼먹으면서 197번째 아미노산인 류신이 없는 효소가 만들어졌다. 그 결과 활성 자리
구조
가 크게 바뀌어 효소 활성에 중요한 195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의 위치가 틀어져 더 이상 효소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개체에서 다음 세대를 얻는 과정에서 식물 게놈에 끼어들어간 gRNA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특징적인 세 피크가 다 보인다는 것. 그리고 애벌레가 먹는 밀랍의 탄화수소
구조
가 폴리에틸렌의 탄화수소와 비슷하기 때문에 분해하는 효소 시스템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확증을 위해서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같은 좀 더 명쾌한 실험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다. 문득 2010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Ⅰ)을 과잉으로 만드는 암세포에 치명적이다. 항암제가 달라붙은 토포이소머라아제Ⅰ는
구조
가 바뀌어 DNA에 손상을 일으켜 결국 세포를 죽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리노테칸 자체는 약효가 없다. 정맥주사로 체내에 들어온 뒤 혈액 내 효소의 생체이물 대사작용으로 SN-38이라는 분자로 바뀐 뒤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연구진이 재료로 사용한 레더린의
구조
는 DNA의 이중 나선
구조
와 같은 생명체의 분자
구조
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화학적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는 이 소재를 이용해 향후 청각이나 촉각을 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