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명태 vs 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때문에 명태가 ‘국민 생선’이 됐지만, 1970년대 이후 명태 어획량이 급격히 줄었거든요.
결국
2008년엔 우리나라에서 명태를 한 마리도 볼 수 없게 됐답니다.다음부터 식탁에 올라온 생선이 명태인지 알고 싶을 땐 아래턱을 확인해 보세요. 명태는 대구와 달리 아래턱이 앞으로 더 나온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멈춰도 이미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0% 이상이 1000년 이상 대기 중에 남아 있다는 거예요.
결국
이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수백 년 간 지속될거예요. 이런 이유로 노먼 마이어스 교수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은 2050년까지 전세계에 환경난민이 5000만 명에서 3억 5000만 명까지 발생할것이라고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인도 치킨 달인 ‘ 반반 무마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오 나의 사랑스러운 치느님~!”오늘도 출출한 야식으로 치킨을 시킨 썰렁홈즈. 썰렁홈즈는 항상 맛집으로 소문이 자자한 인도 치킨 달인 ‘반반 ... 한 마리 주면서 말했다.“아시죠? 반반 무마니 치킨은 이제부터 셀프!”썰렁홈즈는
결국
치킨 대신 자신이 만든 치킨 무만 잔뜩 먹었다나 ... ...
[특별 인터뷰] 개구쟁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7살 꼬마 데니스는 영화 ‘스타워즈’를 보고 결심했어요. 스타워즈에 나오는 것 같은 멋진 로봇을 만드는 사람이 되기로 말이에요. 꼬마 데니스는 ... 될 거예요.친구들이 좋아하고, 잘하고, 가치 있는 일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노력한다면
결국
그 꿈을 이룰 수 있을 거예요. 저처럼 말이죠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이 독가스는 제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이 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데 쓰였지요.
결국
하버 박사는 인류에 공헌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지만 ‘화학무기의 아버지’라는 나쁜 별명도 얻었답니다. 노벨상 아닌 노벨상 엉뚱함이 노벨상감! 이그노벨상이름은 노벨상이지만 노벨상이 아닌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그 중 하나고요. 한편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오징어나 참다랑어, 해파리는 늘어났어요.
결국
수온이 바다밥상을 바꾸는 데 큰 영향을 준 셈이랍니다.또 몇몇 물고기의 수가 줄어든 이유로 ‘남획’이 꼽히기도 해요. 어획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된 것도 이유지만, 알을 ... ...
아끼고 지키는 게 힘!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먹이를 찾지 못해 멸종하는 경우가 생겨요.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멸종이 계속되면
결국
모든 생물들이 멸종하고 우리 인간들마저 목숨이 위태로워질지 몰라요.하지만 다양한 생물이 더불어 살고 있다면 환경이 갑자기 변해 한두 종이 멸종한다고 해도, 환경에 적응한 생물종이 남아 생태계를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스르륵~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위치에 있었답니다. 그런데 섭섭박사님의 배가 갑자기 앞이 아닌 옆으로 움직였어요!
결국
섭섭박사님이 당황한 사이에 차분하게 경기에 집중한 희선 친구가 우승을 차지했지요. 차분하게 빨대 속으로만 알코올을 떨어뜨린 것이 우승의 비결이었답니다.결승선을 2cm 남기고 패배하고만 섭섭박사님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다이어트 전문가 ‘ 바비 부러우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결국
하루 종일 한 그릇만 먹게 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썰렁홈즈는 문제를 다 맞혀서
결국
다이어트 첫날 5끼를 먹고야 말았다. 흑…. 썰렁홈즈 다이어트는 실패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쥐에서 완전히 사라 졌고, 나머지 40%의 쥐에서는 1000분의 1 정도로 줄 어들어 있었답니다.
결국
건강한 장 속 세균이 슈퍼 박테리아를 사라지게 만든 거예요. 연구팀은 “앞으로 슈퍼 박테리아를 물리친 건강한 장 속 세균이 어떤 종류였는지 밝힐 것”이라고 말했답 니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