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보트
로봇트
robot
인조인간
기계 인간
자동 인형
총
d라이브러리
"
로봇
"(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 과학영재를 글로벌 리더로 이끈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뛰어난 실력을 뽐내며 주목받고 있다. 2006년 국제천문올림피아드와 2007년 국제
로봇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수상했고 올해에도 아시아태평양 정보올림피아드에서 은메달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에서 대상을 차지했다.다양한 연구 활동으로 실력 키운다장영실과학고는 전국 과학고 중 유일하게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MSL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 동시에 태양빛에 의존하지 않아 기존의 탐사
로봇
보다 더 넓은 지역을 돌아다닐 수 있다.역대 최대 덩치를 자랑하는 MSL은 착륙 시스템도 이전과 다르다.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는 낙하산과 에어백을 이용했고, 피닉스는 에어백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거워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나노
로봇
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전투기에 ‘투명망토’ 입혀최첨단 방탄복과 나노
로봇
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문제도 나노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연료전지에 접목해 초소형 고효율 전지를 만들면 된다. 가령 포도당 같은 탄수화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바이오연료전지는 ... ...
해양유체역학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따른 운동을 해석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해양유체역학이 사용된다. 또 수중
로봇
물고기나 해저탐사용 무인 잠수정을 개발하는 일 등 해양파와 관련된 모든 공학문제에 해양유체역학이 쓰인다.3. 어디에 있어요? 해양유체역학은 유체역학이라는 큰 범주에 속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미 육군미사일추진기구가 해당된다. 곧 NASA는 우주 업무를 지휘했고 지난 50년 간 인간과
로봇
에 의한 우주비행, 항공학 연구에서 뛰어난 역할을 해왔다. 워싱턴 D.C.에 위치한 본부 이외에 NASA는 전국 10개 센터를 운용하며 약 1만9000명의 직원을 지휘하고 있다. 2009년 회계연도에 제안된 NASA의 예산은 ... ...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구비돼 있지만 크레인만은 사람이 직접 조종한다. 하지만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은
로봇
기술을 활용해 크레인 조종마저 자동화했다.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를 부두의 적재 장소에 옮기는 운반차에도 운전기사가 없다. 미리 입력된 적재 위치를 운반차가 자동으로 제시간에 찾아간다. 여기에 현재 ... ...
필요에 따라 썼다 지우는 워터마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프레임을 정지 영상으로 변환한 뒤 같은 과정을 거친다. 유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로봇
의 화상 인식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유 교수팀은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 쓰이는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디지털 워터마크도 개발한다. ... ...
예비 과학자의 꿈이 영그는 곳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바꾸는 방법을 배웠다. 그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리가 불편한 친구를 위한
로봇
을 디자인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김 양은 3M캠프에서 자신감을 얻었다. 지난 학기까지 과학이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3M캠프에서 과학의 ‘감칠맛’을 보면서 선생님에게 주저 없이 질문하고 친구들과의 ... ...
‘검은 태양’ 아래서 꿈을 꾸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만드는 지상 최대의 이벤트를 직접 보기 위해 일식원정대가 꾸려졌다. 필자를 비롯해
로봇
‘휴보’로 유명한 ‘일식 마니아’ KAIST 오준호 교수와 천체사진가 김상구 씨, 그리고 KBS 촬영팀과 일반 참관객 2명까지 총 11명이 참여했다. 모두들 이번 일식을 위해 수개월을 준비해왔다. 이번 일식 ... ...
미세유체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초소형
로봇
이 우리 몸을 돌아다니면서 병을 치료하고 초소형 칩 위에 실험실이 들어간다. 바로 미세유체공학에서 연구하는 기술이다. 다양한 분야와 결합해 우리 삶을 바꿀 놀라운 기술을 만들어 내는 미세유체공학에 대해 알아보자. 1 미세유체공학이 뭐죠? 세상을 움직이는 기계들이 점점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