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화학과 학사, 석사1996미국 일리노이대 화학 박사2002젊은과학자상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2008포스코청암과학상
수상
1997년~현재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2002년~현재교육과학기술부 창의연구단 산화물 나노결정 연구단 단장2005년~현재‘Advanced Materials’ 편집위원2006년~현재‘Chemical Communicat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과학자들과 공학자들이 적지 않다. 이 책은 2008년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을
수상
한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를 비롯한 과학자 31인과 국내 최초로 휴머노이드로봇 ‘휴보’를 탄생시킨 KAIST 기계공학부 오준호 교수를 포함한 공학자 29인의 이야기를 담았다. 그들이 어떻게 ... ...
분석과학으로 노벨상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앞으로 그라스트에서 우수한 분석과학 인재들을 배출해 우리나라에서도 노벨과학상
수상
자가 탄생하기를 기대해본다.분석과학기술대학원의 학생들은 기초연의 첨단 분석 장비를 직접 이용하면서 실험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분석과학 전문인으로 성장할 것이다 ... ...
화려한 성과보다 과정 제시해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월성과 적극성, 전공 적성을 주로 평가하는데 반면 ‘나’형에서는 대회
수상
및 활동 실적으로 발전가능성을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입학사정관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하게 분석해야 한다.▶서류평가에서 ‘전형성’은 없다: 입학사정관들은 “서류평가는 어느 ... ...
기세 오른 한국 수학, 국제수학자대회 유치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유치하면 청소년들이 수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거예요. 미래에 필즈 메달
수상
자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겁니다.”박 유치위원장에 따르면 지금까지 필즈 메달을 받은 48명 가운데 8명이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입상한 경력이 있다. 이번 대회가 현재 한국 수학 실력을 알리는 일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마다가스카르 북단에서 460km,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600km 떨어진 곳에 알다브라 환초가 있다. 알다브라는 인도양에 있는 섬나라 세이셸의 영토로 수도 빅토 ... 해양과 사막을 찍고 연구해왔다. 올해의 BBC-셸 야생 사진가 상, 피지 사진 상 등을
수상
했다.이번이 과학동아에 3번째 싣는 기사다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호프 덕분이다. 그는 화학동역학의 법칙 과 삼투압을 발견한 공로로 190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
했다. 호프의 연구가 없었다면 의사들은 아직까지 알약만 처방했을지도 모른다.납치와 퇴행?영화 후반부, 월터를 비롯한 10여 명의 아이들을 유괴 살해한 엽기적인 살인범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영화는 ... ...
“작지만 강한 대학 GIST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노벨화학상
수상
자인 앨런 히거 교수가, 에틀수소·연료전지촉매연구센터는 노벨화학상
수상
자인 게하르트 에틀 교수가 각각 센터장을 맡고 있다”고 자랑했다.2001년 설립된 고등광기술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광 과학기술 전문 연구기관으로 한국을 레이저 연구 분야에서 세계 6대 강국에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처음 발표했고 많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UFFO는 최근 우주배경복사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
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조지 스무트 교수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박 교수팀은 2006년 창의연구단으로 선정된 뒤 멤스 망원경 개발에 힘썼다. 그는 “현재 멤스 망원경으로 빛을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우주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기능부위 예측 분야에서 각각 1등을 차지한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이주영 교수는
수상
을 축하한다는 말에 쑥스러워하면서도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단백질구조예측대회는 2년마다 열리는데 지난 2006년 7회 대회에서도 이 교수팀은 고해상도 분야에서 우승했다.“사실 고해상도 분야는 2005년에야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