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행
한 무리
초단
일대
일동
동아리
조
d라이브러리
"
일단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로 소형 비행기 날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쓰일 수 있다.야베 연구팀의 레이저 비행체는 이륙하기 전까지만 레이저로 추진된다.
일단
이륙하면 추가적인 추진력을 얻지 못한다는 말이다. 다음 연구 단계로 연구팀은 레이저로 비행기의 움직임을 유도하고 싶어한다. 레이저 추진 소형 비행체는 앞으로 대기나 기후를 모니터하는데 쓰일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바라보면 눈에서 눈물도 난다.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은 큰 건물 아래 그늘로 들어가서
일단
건물의 꼭대기가 태양을 가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정남 방향의 하늘은 트여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하늘을 쳐다보면 훨씬 더 금성을 찾기가 편리할 것이다. 소형 쌍안경을 활용하면 좀더 쉽게 찾을 수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편집보드가 나와있을 정도다.컴퓨터와 연결해서 얻는 장점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일단
컴퓨터에 연결하면 편집하기 쉽다. 글자를 넣거나 뮤직비디오처럼 특수효과를 넣은 일은 약간의 눈썰미와 수고만으로도 얻을 수 있다.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서 원하는 부분만을 모으는 일은 기본에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제공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IRGSP의 게놈 해독 속도가 더 빨라졌다.벼 게놈 해독에
일단
물꼬가 터지자 곳곳에서 성과들이 발표됐다. 스위스에 기반을 둔 다국적 농업기업인 신젠타는 2001년 1월 미국 미리어드 지네틱스와 함께 자포니카의 게놈을 해독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고려한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의 경우 그 결과를 얻는데 상당한 계산시간이 필요하지만,
일단
계산결과를 얻고 나면 시간과 공간에 따른 물의 속도와 압력, 구조물이 받는 수압과 충격치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는 갖가지 가능한 극한 상황에 대해 그 영향을 파악하는데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금강산댐은 자갈과 모래, 흙으로 만들어진 사력댐이기 때문에 여수로가 없어
일단
넘치기 시작하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이에 대해 충남대 토목공학과 임희대 교수는 “댐 본체에서 1-2km 떨어진 부분에 여수로를 만들고 있는 것 같다”며 여수로의 존재 가능성을 추정했다.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종이와 화학약품에 대한 좀더 정밀한 수사를 해야 명쾌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서
일단
요오드-녹말 반응을 일으킨 수법으로 추정하고 있다. 녹말이 요오드에 반응을 일으켜 청남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초등학교 때 레몬즙으로 했던 실험을 떠올려보자. 종이에 레몬즙으로 글씨를 써서 말린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흘러가는 방향이 서쪽이다. 하지만 맨눈 관측이라면 좀더 신중히 방향을 정해야 한다.
일단
은 하늘의 위쪽 방향(머리 꼭대기 방향)을 용지에 그려넣어 정리할 때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관측이 끝나면 시간대 별로 그려진 태양의 모습을 정리해 분석해보자. 먼저 가장 많이 가려진 시기(식심이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중도 폐기된 GM 콩따라서 지금까지 식용이 아닌 생물체의 유전자가 이식된 GM 작물이라면
일단
알레르기를 유발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같은 일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철저히 조사된다.FAO와 WHO는 새로운 유전자나 GM 작물을 개발할 때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을 ... ...
왜 화석을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새로운 종류의 생물로 진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수천년 또는 수만년이 걸리는데 반해
일단
새롭게 태어난 종은 오랜 동안(보통 수백만년) 거의 형태적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지층의 퇴적기록에서 보면 수천년 또는 수만년의 기간에 쌓인 지층의 두께는 수cm에 불과하다.따라서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