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리튬-황 전지를 만드는 데 ‘단계적 프린팅 공정’을 적용했다. 원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
의 전지를 직접 제조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굴곡이 있는 평면 구조인 비행기 날개 위에 알파벳 형상의 리튬-황 전지를 제조해 성능을 테스트했다. 이상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용량, 고안전성 ... ...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단면(표면)의 결정구조가 다를 수 있다. 수박을 가로로 잘랐을 때와 세로로 잘랐을 때
모양
이 다른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구리 001과 110, 111 등 결정구조가 다른 세 종류의 구리 기판 위에서 그래핀을 합성했다. 그 결과 구리 111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가장 균일하고 빨랐다. 구리 111의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점의 위치에 따라 글자가 결정되기 때문에 점자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크기’와 ‘
모양
’이 중요하다. 글자는 작게 쓰나 크게 쓰나 글씨체를 바꾸나 이를 읽는 데 무리가 없다. 반면 점자는 손가락 끝의 감각에 의지해 읽어야 해 손가락 끝에 들어오는 일정한 크기가 필수다. 또 점자는 반구형으로 ... ...
[프리미엄리포트] 다시 돌아온 터미네이터 과학으로 엿보기
과학동아
l
2019.11.02
이 로봇 손은 상처가 나서 찢어져도 새로운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일으켜 원래
모양
으로 복구된다. doi: 10.1109/ROBOSOFT.2019.8722781 2017년 한국화학연구원은 황 화합물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더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복분해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는 신소재를 개발했는데, 이 신소재는 기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따라 공전할 때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당 훑고 지나가는 부채꼴
모양
의 도형의 넓이는 항상 일정하다. 행성이 공전함에 따라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공전궤도면을 훑고 지나가는 넓이가 조금씩 커질 텐데 그 넓이가 증가하는 정도가 똑같은 시간 동안에는 항상 똑같다는 뜻이다. ... ...
양자암호 위성통신·우주 태양광…쎄트렉 신화 이어줄 미래 위성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의해
모양
이 달라져도 그 물체를 온도나 빛 등 동일한 조건을 맞춰주면 다시 원래의
모양
으로 돌아가는 성질을 지닌 고분자다. 하지만 문제는 이 형상기억고분자가 지탱할 수 있는 무게다. 김 교수는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는 150뉴턴(N)의 힘을 가지고 있는 반면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핵산 복합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단백질 조각과 면역세포를 자극할 핵산물질 등의 생체분자들을 합성한 것이다. 둥그런
모양
으로 자가조립되는 지질 DNA에 단백질 센서 조각과 면역증강 효과를 가진 핵산물질 ‘CpG서열’을 탑재했다. 종양을 가진 생쥐에 이 핵산물질을 전달한 결과 연구팀은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가 약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만드는 게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조 교수팀은 거울 대신 반도체 자체를 육각기둥
모양
막대 구조로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빛이 육각기둥 내부에서 반사를 거듭하며 갇히게 돼, 별도의 거울 없이도 빛이 엑시톤과 오래 반응하게 한 것이다. 연구팀은 반도체 육각기둥 구조에서 생성되는 ... ...
"기술만 보지말고 시장을 보라" 실험실 창업에 선배들의 조언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배원규 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올해 8월 독사 어금니의
모양
을 본뜬 새로운 형태의 바늘을 만들고 실험실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독사는 날개 형태의 이빨로 피부에 구멍을 낸 후 모세관을 통해 독을 주입한다. 연구팀은 이를 모방한 바늘로 약물을 기존 주사보다 ... ...
美 공군 X-37B, 우주에서 780일간 비밀 임무 마치고 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5m로 동체가 버스보다도 작은 무인 우주비행선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과
모양
은 비슷하지만 크기는 4분의 1 정도다. 로켓에 실려 수직으로 발사된 이후 돌아올 때는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착륙하는 재사용 우주선이다. 우주에서는 궤도를 자유자재로 바꿔가며 운행할 수 있다. 미국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