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뉴스
"
설계
"(으)로 총 4,564건 검색되었습니다.
"北 발사 위성 2개, 여전히 궤도 운행…교신 여부 불확실"
연합뉴스
l
2022.06.22
통과한다. 앞서 북한은 올해 2월 광명성 4호 발사 6주년을 기념하면서 "인공지구위성의
설계
로부터 제작과 조립 발사와 발사부 관측에 이르는 모든 것을 100% 국사화한 것이야말로 강국건설에서 이룩된 기적 중의 기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궤도 운행이 곧 정상 작동을 의미하지는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탑재되어 있는데, 성능검증위성의 운용기간 동안 이들 탑재체가 실제 우주환경에서
설계
된 성능을 잘 발휘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예정이다. 2019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박상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팀의 'MIMAN'과 기창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의 ‘SNUGLITE’, 오현웅 조선대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돼 실패한 경험 등이 큰 교훈으로 남아있다”며 “최대한 당시의 시행착오를 반영해서
설계
했다”고 말했다. 2012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우주발사체를 한 번도 개발한 적이 없는 나라였다. 연구용 관측로켓이었던 과학로켓(KSR) 시리즈를 발사한 경험이 전부였다. 2005년 러시아와 국제협력을 통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수질 오염과 물고기 집단 폐사
2022.06.22
공사는 일사천리로 진행되었고, 2013년에는 16개의 보가 모습을 드러냈다. 보의 위치 선정,
설계
, 환경영향평가에 낭비할 시간적 여유는 없었다. ‘졸속’이라는 평가는 처음부터 예정된 것이었다. 곳곳에서 부실시공의 흔적이 드러났고, 더위가 시작되면 어김없이 녹조가 기승을 부리는 일이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최소 두께 2mm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광수 발사체구조팀장은 “추진제 탱크는
설계
도면이 있다고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며 “최적의 공정을 찾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공정을 개발하는 데 최대 1년 가량 소요됐다”고 밝혔다. 순수 국내 독자 기술로 구축한 제2발사대도 빼놓을 수 없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명확치 않아 중대형 액체엔진 개발자들에게는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
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불안정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첫 위성 발사 30년만 쾌거...과학위성·과학로켓으로 이어진 우주개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가장 괴롭혔던 순간으로 꼽힌다. 원인을 알기 어렵고 해결 방법도 마땅치 않아 엔진
설계
를 12번이나 바꾼 끝에 16개월 만에 연소 불안정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 ...
16종 물질 분별 가능한 국내 최초 복합방사선 보안검색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신속한 화물 보안검색이 가능하다. 원자력연은 2016년도에도 보안검색용 전자가속기
설계
와 방사선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해 X선 컨테이너 검색기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복합방사선 보안검색기는 기존의 X-선 기술에 중성자 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연구원은 향후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낙하하고 말았다. 항우연은 2차 발사를 앞두고 헬륨 탱크의 고정 장치가 강화되도록
설계
를 바꾸는 등 보강 작업을 실시했다. 지구의 물체가 중력을 완전히 벗어나 아주 먼 곳까지 멀어지려면 중력 탈출 속도나 그 이상의 속도가 필요하다. 중력탈출 속도는 중력을 제공하는 천체에서 얼마나 ... ...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발사체 개발을 통해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
설계
단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발사체 개발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누리호 2차 전체 비행궤도를 CG로 담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https://tv.naver.com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