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7"(으)로 총 16,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2)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내 주신 한자, 영어 쓰기 숙제를 하기 싫다고? 빽빽이 연필을 사용하면 걱정 없다. 7개의 연필이 나란히 붙어 있어 한 번만 써도 7번을 쓸 수 있다. 다만 성적은 보장할 수 없다. 새로운 도구를 만들자 - 각도기 칼 이제는 어떤 케이크 조각이 더 큰지 눈치 볼 필요가 없다. 각도기 칼을 사용하면 케이크를 똑같이 나눌 수 있기 때문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흰개미를 막는 붕소를 넣고, 이 두 약품이 잘 섞이도록 크롬을 집어넣는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지는 라미네이트우드는 나무보다 7배 강하고 온도와 습도에 따라 잘 변하지 않는다. {tIMG_r10}어떤 모양으로 만들까? 롤러코스터들은 하늘을 뚫을 만큼 아찔해지는 높이에 발맞춰 이 높이를 지탱하는 힘도 커져야 했다. 이를 위해 사용한 것이 바로 트러 ...
- 한국 최초 우주인, 임무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발생하는 초대형 번개는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지상에서는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소연 누나는 4월 11부터 17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의 박일홍 교수팀이 개발한 특수 망원경을 이용해 초대형 번개를 관측했다. 이 망원경은 반도체 기술로 빛을 추적하며, 시야가 넓고 관측 대상을 순식간에 추적·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초대형 번개를 세 ...
- 국제우주정거장 응답하라, 오버!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질문이 이어졌어요. 시간이 별로 없어서 마음이 급했을 텐데도 이소연 누나는 하나하나 친절하게 대답해 주었지요. 승민이는 7번째로 교신을 마쳤고, 명예기자 하진이도 13번째로 교신에 나섰어요. 하지만 아쉽게도 이 때 시간이 오후 8시 8분. 국제우주정거장이 막 한반도 상공을 벗어나 이소연 누나의 답변은 잡음 속으로 숨어 버렸고 교신은 끝이 났어요 ...
- 둥둥~ 한강에 뜬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바다 위에 짓는 다리인데 일부 구간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저터널로 연결되는 곳은 가덕도와 대죽도를 잇는 3.7㎞ 구간이에요. 대형 선박이나 해군기지를 오가는 군함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이지요. 다리를 지으면 커다란 배가 움직이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해저터널을 만들기로 한 거예요. 그렇군요. 그런데 왜 공사는 땅 위에서 ...
- SOS! 고래는 지금(2)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사용했지. 20세기엔 고래 기름으로 마가린, 비누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돼 더 많은 고래가 잡혔어. 포경이 가장 심했던 1962년엔 한 해에 7만 마리의 고래를 잡았단다. 지금도 우리 향고래 머릿속에 있는 기름은 저온에서도 변하지 않아서 인공위성의 윤활유로 쓰이고 있지. 한반도에서도 고래는 사람과 밀접한 관계였어. 고래들은 옛날부터 동해바다를 즐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작물 대부분을 보관하게 될 거예요. 와우! 그러기 위해서는 시설이 무척 잘 갖춰져 있어야겠군요. 저장소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요? 27x10m의 큰 방 세 개로 이루어져 있어요. 곡물 종자들은 영하 18℃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되는데, 혹시 냉동장치가 고장나도 괜찮아요. 이 곳의 온도는 영하 3.3℃ 이상 올라가지 않는 영구 동토층이거든요. 게다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1)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독특하게 휘어진 상아, 매머드 언제 살았나요? 13만 5000~1만 1000년 전 얼마나 클까? 수컷은 어깨까지 높이가 3m 정도였으며, 암컷은 2.7m정도였어요. 어떻게 생겼나요? 온 몸이 두터운 털로 덮여 있어요. 또 커다랗고 멋진 상아를 가지고 있지요. 현재 살고 있는 코끼리와 형태, 크기, 긴 코가 비슷하지만, 코끼리의 상아와는 다르게 ...
- 숭례문 화재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숭례문 화재 사건의 시작이었다. 이 날의 화재로 인해 숭례문 1층 누각의 상당부분과 2층 누각 전체가 불에 타 사라졌다. 조선 태조 7년인 1398년에 완성된 이후 600여 년에 걸쳐 임진왜란, 일제강점기 등 온갖 역경을 이겨 낸 소중한 문화재가 순식간에 우리 곁에서 사라진 것이다. [소제시작]목조 문화재의 가장 큰 적, 불![소제끝] 우리나라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좋은 탐구주제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BIMG_R13}금관분교의 과학반을 맡고 있는 우관문 선생님은 2004년 올해의 과학교사상과 2007년 신지식인 교육분야를 수상할 만큼 과학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어요. 그래서 3학년부터 6학년까지 14명의 과학반 학생들이 ‘누에는 먹이에 따라 어떻게 변할까?’라는 주제로 탐구할 수 있도록 지도했지 ...
이전1590159115921593159415951596159715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