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4회 전국 학생 과학 논술대회’ 수상작 발표
2015.08.21
수여된다. 논술대회 심사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mini.itamtam.co.kr/essay2015)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제14회 전국 학생 과학 논술대회 심사 결과 보러 ... ...
수질 감시에는 ‘깡통 로봇’이 장땡
2015.08.21
수질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GPS가 달려 있어 조사가 끝난 뒤에는 로봇의 위치를
확인
해 건져 올 수 있다. 연구진은 센서 로봇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에 이전해 1년 안에 상용화할 계획이다. 최 연구원은 “로봇 양쪽에 프로펠러가 달려 있어 제어 프로그램만 입력하면 임무를 마친 로봇이 정해진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발표했다. 이 전자피부를 장갑에 붙이면 손바닥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지 바로
확인
할 수 있다. 전자피부 전문가인 김도환 숭실대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는 “고양이가 수염으로 기압 차를 감지해 장애물을 피해 가는 것처럼 인간의 감각을 뛰어넘는 ‘슈퍼 전자피부’ 개발이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물리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새로운 방식으로 고에너지 중성미자들의 출처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향후 중성미자 관측 결과를 토대로 우주를 구성하는 암흑물질의 정체나 초신성, 블랙홀 등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구토물에 섞어 얼마나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구토 행위를 통해 연무질이 될 수 있는지
확인
했다. 그 결과 구토물에 포함된 전체 바이러스 중 0.02%의 바이러스가 연무질에 실려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지만 바이러스 입자로는 수 천 개에 달하는 양인 만큼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안 연구원은 “유전자 치료제의 효과가 암세포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며 “유전자를 활용한 암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밝혔다. 연구 성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동물실험에서 siRNA를 이용한 ... ...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분석장치에 적용해 성능을 실험한 결과 유해물질의 농도가 ppb(10억 분의 1) 수준까지
확인
됐다. 김 박사는 “기존 기판과 비슷한 성능의 기판을 값싸고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실제 검출기를 사용하는 여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보완을 거치면 상용화가 ... ...
[Health&Beauty]젊어지는 난청인과 올바른 보청기 맞춤
동아일보
l
2015.08.19
때문에 올바른 보청기 착용을 위해서는 청각의 주관적, 객관적 검사와 중추청각기능을
확인
할 수 있는 소음하 문장재인지도검사와 같은 전문화된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착용 뒤에도 보청기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검사가 필요하다. 보청기의 잘못된 처방으로 울림을 호소하거나 하울링으로 ... ...
인디언 모기약, 실제로 효과 있네~!
2015.08.18
toluamide)’ 정도의 효능이 있음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구조 분석을 통해 추출물 성분을
확인
한 결과 ‘쿠마린’과 ‘파이톨’이 모기 퇴치 효능을 내는 성분임을 밝혀냈다. 쿠마린은 상용화된 일부 모기 퇴치제의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톨 역시 모기를 물리치는 기능이 있다는 연구 ... ...
체내에서 정상작동할 수 있는 반도체 개발
2015.08.18
구동이 가능해 주변 수분을 전기분해 하는 일이 없이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연구팀은 “매우 낮은 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체내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며 “인체 삽입형 전자소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이전
1591
1592
1593
1594
1595
1596
1597
1598
1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