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d라이브러리
"
저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4
길고 긴 여행을 생각해 주세요. 그럼
저
는 이만 농장으로 돌아가 볼게요. 주인 아
저
씨가
저
를 기다리고 있는 것 같거든요. 곧 예쁜 초콜릿이 되어서 다시 만나요. 안녕~!세계의 초콜릿 ③만디앙초코릿 위에 과일이나 견과류를 얹은 초콜릿. 예쁜 모양과 초콜릿 위에 얹은 다양한 재료가 특징 ... ...
도시를 통째로 옮겨라
과학동아
l
200903
어딜까. 일렬로 늘어선 구조물 속에서 간간이 화장실용 변기와 세면대가 눈에 들어온다.
저
멀리 공장 한쪽에서는 뼈대만 있는 직육면체의 철골 구조물에 네모난 창문이 달린 벽과 바닥판을 붙이는 모습도 보인다. 공장 한쪽 벽면에 붙은 ‘3R(Recycle, Reuse, Reduce)을 달성하자’란 문구가 인상적이다. 그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903
만년 조연으로 취급되던 프리지아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귀여운 노란 꽃이라는 선입관은 버리라며 진면목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현란한 ... 튼튼한 품종을 개발하고 싶습니다.”무릎을 굽혀 프리지아 알바에 다가가자
저
멀리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의 향기로운 바람이 코끝을 스쳤다 ... ...
완벽(完璧)한 입체, 구
과학동아
l
200903
구슬을 건네자 인상여는 재빨리 뒤로 물러나 기둥에 등을 대고 노한 목소리로 말했다.“
저
는 왕께서 성을 떼어줄 생각이 없음을 알고, 꾀를 내어 구슬을 돌려받았습니다. 만약 구슬을 강제로 다시 뺏으려 한다면, 구슬을 기둥에 부딪쳐 부숴 버리겠습니다.”소양왕은 인상여의 기지와 용기에 감탄해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0903
있는 학자들이 의기투합했다. “사회와 호흡하는 공학도로 계속 살아갈 생각입니다.
저
와 함께 뜻을 나눌 후배 연구자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이제까지의 공학교육은 학생의 기술 역량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해 왔죠.하지만 이젠 달라져야 합니다. 엔지니어링의 기본 원리를 무시하자는 건 ... ...
지구의 끝, 남극으로 떠난 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3
먹고 잠깐 졸다가 다시 먹다 보면 하루가 다 가지요. 어미 펭귄은 먹이를 위 속에
저
장해 뒀다가 아기에게 토해 줘요. 아기는 먹이를 받아먹기 위해 어미의 목구멍 속으로 힘껏 목을 들이밀지요. 아기 펭귄은 태어난 지 한 달쯤 지나면 어미의 70% 크기로 자라요. 마치 풍선에 바람이 차듯 순식간에 ... ...
“마음대로 구부리세요~!” 차세대 반도체 소재‘그래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3
소재라구요.와우! 정말 대단하시네요. 그런데 어떻게 구부렸다 펴도 아무렇지 않은 거죠?
저
는 탄소 원자들이 벌집 모양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물질로, 원자 한 층 정도의 두께밖에 안 돼요. 세상에서 가장 얇은 물질이면서도 무척 안정되어 있지요. 게다가 신축성까지 좋아서 당기거나 접어도 전기를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2
때문이에요. 온실가스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제 모습에 감동했다며 이제 늘 제 옆에서
저
와 함께 지내기로 약속했답니다.언제 우리 마을에 놀러 오세요. 태양열을 이용해 데운 따뜻한 방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눠요. 기다릴게요. 안녕~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02
조각조각나서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지난해 11월 20일 과학
저
널 ‘네이처’에 매머드 게놈의 70%를 해독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습니다. 매머드 게놈 역시 1만 년 이상이나 지났기 때문에 DNA가 조각 조각나고 일부 손상도 입었지만 화학적 변화가 매우 느리게 일어나는 동토에 ... ...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02
이들은 길이 30m의 첨
저
선이라 성능이 뛰어났다. 하지만 봉래 3호선에서 보듯이 평
저
형 한선도 한반도에서 산둥반도까지는 어렵지 않게 항해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최항순 교수는 독일 뮌헨공대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에서 해양구조물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담당해왔다. 틈틈이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