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한 육체적 고통속에서도 보람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순환해류에 의해 서에서 동으로 운반되며 수온은 남극수렴선(대체로 남극의 45˚선)을
경계
로 북부에서는 6℃이나 남극에서는 영하의 수온으로 급격히 변한다. 이 해협에는 '크릴새우' 등이 풍부하여 11월~2월 기간중 우리나라의 동방원양회사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어선들이 밀집한다. 혹독한 ... ...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분명하다. 길잡이 저어새는 먹이도 거의 먹지않고 외적의 기습을 철두철미하게
경계
하는 책임감이 강한 새이다.철새의 일종인 저어새는 당연히 이동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새에 속하므로 봄철인 3월경에 와서 가을철인 11월이 되면 남쪽으로 되돌아 간다. 이때 이동하는 저어새들의 무리를 ... ...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개발 미리 예방주사를!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복사되고 있는 소위 '공공영역'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자신의 시스팀에 사용되는 것을
경계
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컴퓨터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카나리아 예방법에서 T세포 프로그램까지그중의 하나가 영국의 IDC사가 생산한 IBM ... ...
국내 컴퓨터계에 IBM 파문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PC XT/AT 호환기종을 대량으로 생산해오던 국내 생산업체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크게
경계
하고 있다. 매출액 대비 이익률이 몇%에 지나지 않아 특허료가 3%에 이를 경우 큰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제까지의 특허료를 소급적용할 경우 액수는 엄청난 거액. 이처럼 IBM이 이제까지 아무런 ... ...
과학으로 푼 변화구의 원리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표1)의 항력계수를 바로 적용시킬 수는 없다.다만 야구공의 공기역학적 항력 특성은
경계
지역을 전후하여 변화가 클 수 있다는 것만을 기억하면 된다. 사실 야국공의 경우에 있어서 항력보다는 야구공의 궤도가 공기역학적인 측력(側力ㆍ중력의 영향을 배제하고 궤도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힘)에 ... ...
난세이제도 개발 일본의 진주, 그 빛을 잃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기떼도 죽어 이지방 어민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 ●―남과 북의
경계
난세이제도는 열대성 동·식물과 한대성식물이 섞여 살고 있는곳이며 대체로 쌍방한계선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최근 많이 없어지고 있는 활엽수는 남아시아 식물군에 속하는 상록수들로서 해발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원추 주위의 초음속
경계
층류의 해석에 관한 연구였다.초음속 또는 극(極)초음속 난류,
경계
층류의 해석은 수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것이다. 게다가 방정식의 특징이 비선형이므로 정확한 공기 흐름에 대한 해석은 극히 난해한 분야에 속한다. 그래서 첨단의 슈퍼 컴퓨터로도 완전한 해답을 구하지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편평상피세포암이다. 일광에 노출되는 피부 및 점막에 자주 발생한다. 처음에는
경계
가 뚜렷하고 둥근 사마귀같은 홍갈색 또는 피부색의 단단한 결절을 형성했다가 수개월내에 빨리 커지면서 하부조직까지 침윤하며 중심부에 궤양을 형성한다. 이 종양은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 자외선 ... ...
PART4 왜 동물은 털이 많을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많은 동물에 비하여 두꺼우며 각질층과 과립층이 잘 발달되어 있고 표피와 진피사이의
경계
면이 파도처럼 굴곡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굴곡은 손바닥 발바닥에 피문(皮紋)을 만들며 손가락의 피문은 지문(指紋)이라고 한다. 지문은 접촉감각 기능을 증가시키며, 물건을 잡았을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 ...
동물들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대항책을 발휘한다. 새나 포유류 집단은 적의 접근을 눈치 챈 몇몇개체가 예리한
경계
음으로 동류들에게 위험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린다. 이런 행위가 적에게 자신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결과가 되어 잡아먹힐 위험에 빠지기 쉽기때문에 얼른보면 이타적으로 보인다. 이것을 최근의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