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논문인 ‘배추흰나비의 변이 연구’에서 그는 16만 마리가 넘는 나비의 형태, 무늬, 색채, 모양, 길이를 조사해 이를 수치화했다. 그리고 학계에 보고된 20여 종의 나비가 실제로는 배추흰나비의 아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석주명은 10여 년간의 변이 연구를 통해 조선 나비를 250여 종으로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핵융합장치를 말한다. D자 모양의 초전도 자석으로 자기장을 만들어 플라스마가 도넛 모양의 진공용기 안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국의 핵융합장치인 ‘KSTAR(Korea Supercon -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케이스타)’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2년 동안 국내 기술로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때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며 “터치부의 축전기를 더 작게 만들어 지문의 세부 모양까지 인식할 수 있게 하면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센서를 쓰면서도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문 센서, 대면적화가 목표하지만 정전용량 방식 역시 완벽하지는 않다. 터치부에 센서를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용할 수 없다.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고체 입자를 생성한 뒤 모양을 프린팅하거나, 작은 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탐침 시스템을 만들어 물체를 쌓는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는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로 복잡한 구조물을 잘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3D 프린터는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기하학적 모양의 물체를 만들 수 있고, 기존 방법보다 표면이 더 매끄럽게 제작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31일자에 실렸다.doi: 10.1126/science.aau711 ... ...
- [수학체험실] 십이이십면체와 세팍타크로 공 품은, 지오데식 돔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다면체를 선호한다.지오데식 돔의 가장 큰 장점은 가장 간단한 모양인 삼각형으로 이뤄져 있으면서 가장 구에 가까운 다면체 구조라는 점이다. 전개도를 그리거나 만들기가 복잡하긴 하지만, 막상 만들고 나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적은 재료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구조를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강착원반 역시 열적 복사와 함께 싱크로트론 복사를 내기도 한다. 이 대칭적인 원반 모양의 테가 내는 빛도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는 블랙홀의 중력과 테가 가진 상대론적 속도 때문에 왜곡된 그림자를 보일 것이다. 영화 ‘인터스텔라’에 등장한 블랙홀을, 정확히 말하자면 블랙홀이 만든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설탕은 직선을 그리며 뻗어나가다가 공기 중에서 순간적으로 식으며 아주 가는 실 모양으로 변합니다. 이런 실들을 젓가락으로 돌돌 감으면 솜사탕이 되지요!머신러닝을 이용한 달콤한 처방전이제 여러분이 지금 먹고 싶은 디저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머신러닝을 이용한 감정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드론을 이용해 찍은 사진이에요. 얼음조각이 녹으면서 안쪽으로 물이 들어와 하트 모양의 수영장이 생겼답니다. 얼음조각 위에 누워 있거나 물속에서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물개들이 마치 수영장에 놀러온 관광객들처럼 여유로워 보이네요. 모래와 바다, 안개의 삼중주 | 아프리카 대륙 나미비아에 ...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나무 사이의 간격이 성장 속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1974년 3월, 동심원 모양으로 삼나무를 심어 실험을 시작했던 거예요. 동심원은 모두 12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나의 원 안에는 10° 간격으로 36그루의 나무가 심겼지요. 이때 바깥으로 갈수록 원이 커지기 때문에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