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교수는 인간이 쓸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양이라고 판단했답니다.오! 역시 화성 정복을 목표로 삼아야겠어. 어때? 지금 바로 들어가서 살만해?글쎄요. 지금까지는 토양에 있는 물의 존재만 확인했을 뿐 미생물 같은 생명체는 발견하지 못한 상태예요. 화성 유인탐사 계획도 러시아가 2025년, NASA는 2030년 ...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아리랑 5호랍니다. 지난 8월 22일에 러시아의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돼 목표였던 550㎞ 높이 궤도에 무사히 도착했지요. 지금은 지구 주변을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한반도를 지켜보고 있어요. 발사 5시간 56분이 지났을 때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첫 번째 교신을 하긴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원장Q 1 라식과 라섹 같은 시력교정술을 한 뒤에는 시력이 어느 정도로 좋아지나요?목표시력은 1.0정도지만 사람마다 각막의 모양이나 굴절률 등이 다르기 때문에 약간의 개인차가 있습니다.Q 2 시력교정술을 받을 때 아프지는 않나요? 또 수술 뒤에 통증은 어느 정도인가요?마취 효과가 있는 안약을 ...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되니 신기하기도 해요.채은 학생은 이번 논술대회를 어떻게 준비했나요?이번 논술대회를 목표로 준비한 것은 특별히 없어요. 하지만 그동안 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지요. 논술잡지를 2년 동안 정기 구독하며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접했고요, 일 년 조금 넘게 친구들과 ... ...
- [과학뉴스] 모기의 최고 천적은…, 선풍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수 있어요. 모기는 사람의 몸에서 나는 냄새나 호흡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통해 목표를 찾아내지요. 그런데 선풍기 바람은 냄새나 이산화탄소를 모기가 감지하지 못하게 흩어버리는 효과가 있어요.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에릭 호프만 박사도 위생곤충학 저널에서 “인공 바람이 동물이나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일반적인 생태탐사나 캠프와 다른 점은 실제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 목표를 세우고, 엄격하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탐사해서 과학적인 사실을 밝혀낸다는 데 있어요. 작년에 수원청개구리 탐사대원들이 열심히 발로 뛰어서 탐사결과를 보내 온 덕분에 연구원들이 논문을 쓸 수 있었어요. 7월 5일 공개된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먹이: 사람 피 또는 소, 말, 토끼와 같은 동물의 피.식사 방법: 풀숲에서 열이나 냄새로 목표물을 찾아 피부에 달라붙은 뒤 갈고리 모양의 턱으로 피부를 찢고, 톱니같이 이빨이 난 주둥이를 찔러 넣어 피를 빨음.관련 질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 등 작은소참진드기는 억울해 ...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1명 등 총 18명의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정명고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다. 하지만 로봇을 좋아하고 공학을 손끝으로 체험해 보고 싶었던 학생들은 수능 위주의 공부만 하는 학교생활에 목이 말랐다. 김수진 학생이 주도해 일단 동아리를 만들고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효과가 있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성기의 피부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의 목표, 랑게르한스 세포가 있다. 포경수술로 포피를 잘라내면 이 세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성기가 발기하면 포피 안쪽의 피부가 밖으로 드러나면서 질벽과 직접 접촉해 HIV의 통로가 되는 ...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격추될 수 있다. 특히 스텔스 기는 기체를 설계할 때 전파의 반사를 줄이는 게 최우선 목표가 되므로 운동성능을 높이기 까다롭다.현재 F-22 전투기는 완벽한 스텔스 기능으로 세계 최강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지만, 이것만으로 세계 최강이 된 것은 아니다. 첨단기술을 쏟아 부어 만들었기 때문에 모든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