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사일 교란
장비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KF-16과 F-4 및 수송기의 기체 아래 부분에 달린다.특히 이번에 개발된
장비
는 기존 수입
장비
보다 몇 배 이상 먼 거리를 탐지할 수 있고, 전파방해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돼 앞으로 해외 수출도 기대된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해 말 군의 작전요구 성능평가를 성공적으로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들어앉은 것처럼 기어를 바꾸고 운전대를 잡아보기도 할 수 있다.전시장 한쪽에서 전자
장비
에 연결돼 있던 자동차 백미러 모델이 갑자기 획 접힌다. ‘BMW 자동차의 IT’ 사의 사장인 울리히 바인만 박사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차의 속도가 0이 되는 것을 알아차려 백미러를 접는 것”이라고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테이블과 노트북이면 충분하죠.” 연구실은 물론 교수실에도 고성능의 컴퓨터와 첨단
장비
가 배치돼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기자로서는 이런 황량한 풍경이 의아스럽기만 하다. “전 혼자 일 못해요. 학생들 한두명이라도 불러와서 테이블 주위에 앉혀놓고 얘기해야 아이디어가 나오지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빨리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먼저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장비
가 필요하다. 전자는 항상 8만V의 전압을 유지하는 전자총에서 발사돼 150m의 선형가속기를 통과하면서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다. 여기에 2기가볼트(1GV=10억V)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빛의 속도로 가속된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비해 크기가 100만분의 1밖에되지 않는다.“나노구조물을 연구하려면 원자현미경이 필수
장비
입니다. 영상을 보니 패턴이 잘 만들어진 것 같네요.”생명화학공학과 유기광전자재료연구실 정희태 교수가 모니터에서 눈을 떼며 설명을 시작한다.“ 반도체칩이나 디스플레이 소자는 크기를 줄이는데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다.1년 내내 물을 갈아주지 않아도 되는 수족관이 개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정수
장비
전문기업 작은연못이 개발한 아쿠아블은 스스로 자정 능력을 갖춘 ‘테이블형 수족관’.물갈이가 필요 없고 이끼가 끼지 않아 청소를 하지 않아도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며 증발량만큼만 물을 보충해 주면 된다.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김 교수는 보고 있다.“종이 성분을 바꿔가며 정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측정
장비
를 이용해 결과들을 수치로 분석하는 연구가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만 끝낸다면 MEMS기술과 결합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겁니다.”2차 연구가 끝나는 2009년경에는 종이와 안테나, 회로를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팀은 수차례 실험을 거듭한 끝에 드디어 동물 인공태반시스템을 개발해냈다.육중한
장비
와 복잡한 원리일 거라고 짐작했던 인공태반시스템은 뜻밖에 매우 간단해 보인다. 그런데 왜 이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 않은 걸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인공태반 연구는 이미 1960-1970년대에 미국과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거대한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보려는 관람객들로 북새통을 이뤘다.헬스 기구처럼 생긴
장비
도 있었다. 러닝머신 모양으로 생긴 기구는 젭터(Zeptor)라는 이름으로 사람이 그 위에 올라서 있으면 진동이 전달돼 몸이 덜덜 떨리는데, 이 진동이 몸 전체의 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신경계 질환을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 때문에 최근에는 XRD가 단백질 결정 연구 등 나노 수준의 물질 연구에서 기본
장비
로 활용되는 추세다.조 박사가 지도하는 프로그램에는 부산대, 한국해양대, 동아대 등에서 12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이 중 부산대 물리학과 석사 2년차인 우성오 씨는 석사 1년차부터 조 박사의 연구를 도우며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