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스페셜
"
전망
"(으)로 총 1,8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대체에너지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지만(조만간 독일을 제치고 태양광 발전 1위가 될
전망
이다) 편리한 삶에 대한 욕구도 워낙 커 앞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늘지만 않아도 다행일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노력에 별 성과가 없는 것으로 보여 한동안은 이런 환경에서 살아야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미칠지 아직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기존 주류 입장(38억~35억 년 전)에는 꽤 큰 타격을 줄
전망
이다. 35억 년 전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설사 시아노박테리아로 입증된다고 할지라도 그게 산소발생 광합성의 증거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속 깊은 곳에 머물던 땅 속 탄소도 대기로 튀어나와 기후변화 현상을 가속화시키리라는
전망
입니다. 물론 연구팀이 실험한 토양과 비슷한 환경은 지구의 약 13.5% 정도에 불과하지만, 이 연구는 과학자들이 앞으로 미래 기후 변화를 예측할 때 ‘토양’과 ‘땅속 탄소 배출량’을 무시해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인디언들이 일부러 불을 낸 건(물론 실화(失火)인 경우도 있다) 주로 사냥하기 좋게
전망
을 트이게 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날이 덥고 건조해지기 전에 불을 내 불을 잘 통제했고 그 결과 화재 규모가 대체로 작았다. 결국 인디언이 통제하던 시절에는 산불이 골고루 적당한 간격으로 일어났다. 그런데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줄어들면서(가격도 내려가고) 지금 컴퓨터처럼 갖가지 문제 해결에 활용될 것이란
전망
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이른바 아날로그 반도체라고 불리는 '뉴로모르픽(Neuromorphic)' 연구가 급부상할 것이라는
전망
이 많다. 과학기술적인 측면에서 뉴로모르픽을 둘러싼 연구 경쟁이 촉발할 것이라는 얘기다. 인간의 뇌를 하나의 칩에 담는 개념인 뉴로모르픽 구조의 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다면 적은 전력으로도 뛰어난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2050년 지구촌 90억 식구 시대를 맞아 먹을거리를 확보하는데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전망
이다. 1966년 C4 광합성 연구를 이해하려면 먼저 광합성 메커니즘을 밝힌 멜빈 캘빈의 연구방법론을 알아야한다. 시아노박테리아와 녹조류, 식물이 도대체 어떻게 빛의 도움을 받아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을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없지만, 앞으로는 하와이의 야생 곳곳에서 다시 하와이 까마귀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전망
이다. 16일자 ‘사이언스’ 표지는 양구슬냉이 씨앗이 장식했다. 양구슬냉이는 여름이면 하얀 꽃을 피우는 한해살이풀이다. 표지 사진 속에는 길이가 2~3㎜의 작은 양구슬냉이 씨앗이 주머니에 담긴 채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없이 움직일 수 있음이 확인됐다. 로봇의 성공은 향후 인공심장 개발의 기술적 기반이 될
전망
이다.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 빛으로 움직이게 만든 '가오리 로봇' - 사이언스 제공 앞서 지난해 7월에는 미국 콜로라도대 정재웅 교수팀이 쥐의 뇌에 미세 장치를 탑재한 뒤 빛으로 행동을 조종하는 데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 질환을 보다 자세히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
했다. 한편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파란색 눈동자를 치뜨고 있는 상어의 모습이 등장했다. 덴마크 연구진이 대서양에 사는 ‘그린란드상어’가 400년 이상 장수하는 동물이란 사실을 새롭게 조명했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