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01
- 끝나자 모두들 배 위로 올라가 우리를 태우러 오는 버스를 기다렸다. 이 순간을 위해 두 달을 배 안에서 견뎠기에 만감이 교차했다. 오늘은 배에서 내리지만, 우리의 임무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각자 가져간 암석 샘플로 연구를 진행해 2년 뒤 일본 시마네현에서 만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때쯤이면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01
- 교량의 상판이 추락할 수도 있었던 위험한 상황이었다. 이런 경우 복구하는 데 보통 한 달 정도가 걸리지만 서해대교는 꾸준히 모니터링을 해왔던 덕분에 당초 계획보다 13일이나 일정을 앞당길 수 있었다.교량과 같은 도시 인프라 시설물들은 필연적으로 노화되고, 이는 재난으로 이어지기 쉽기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 줄인 초고속 자전거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궤도선에서 분리되어, 화성 표면에 착륙 할 예정이었답니다.그런데 계획과 달리 착륙선은 화성 표면에서 높이 1.1km 떨어진 곳에서 갑자기 지구와의 교신이 끊겼어요. 그 직전까지 스키아파렐리의 낙하산은 정상적으로 펼쳐졌고, 이후 카메라와 레이더 장치도 잘 작동됐어요. 또 대기를 통과하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Group)의 소속이야.”그리고는 주머니에서 뭔가 꺼내 친구들에게 내밀었지요. 거기에는 몇 달 전 사건 현장에 떨어져 있던 배지가 들려 있었어요.“이게 바로 SSG 배지야. SSG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알고 있어. 그리고 자신들의 뜻대로 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지. 그 정점에 누가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바닥에 충돌해 버리고 말거예요. 그래서 고도 7km에서 낙하산을 펼치고, 1.1km에 도달하면 역추진 엔진을 작동했어요. 그럼 착륙선의 속도가 점차 줄어들면서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지요.그런데 착륙 과정에서 낙하산이 일찍 펴졌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 이후 30초 동안 작동해야 할 역추진 엔진이 3초 ... ...
- [과학뉴스] 가짜 약인 걸 알고 먹어도 덜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처방하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진통제와 모양만 똑같은 가짜 약을 함께 처방했어요. 세 달 후 환자들에게 허리 통증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물어본 결과, 진통제만 먹은 환자보다 진통제와 가짜 약을 함께 먹은 환자들의 통증이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답했어요. 노바대 클라우디아 카르발로 교수는 ... ...
- Intro. 스키아파렐리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지직―, 지지직―.10월 19일 현재 시각 2시 42분, 엑소마스 2016의 화성 착륙선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대기권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지금부터 정확히 5분 53초 뒤에 화성 표면에 착륙할 예정이다.낙하산과 역추진 엔진만 제대로 작동되면 된다. 성공한다면 화성을 직접 탐사한 7번째 착륙선이 될 것이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이 시기에 꽃을 피웠답니다.이 식물들의 정상적인 개화 시기는 3~4월이니 무려 세 달이나 빠르게 꽃을 피운거지요. 국립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풍년화가 2016년 2월 23일 개화한 걸 보면 얼마나 빠른지 잘 알 거예요.이미 꽃을 피운 겨울눈은 진짜 봄이 찾아와도 다시 꽃을 피우지 못해요.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개발 선진국이라면 반드시 갖춰야 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어요.과학기술의 빠른 발달로 인간은 우주에 자유롭게 나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우주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주개발은 지금보다 훨씬 위험한 일이 될 거예요. 친구들도 우주쓰레기 처리방법을 함께 고민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