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05
만국 공용어다.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우리
속담
이 있다. 그리고 서양
속담
에는 하나의 그림이 백마디의 설명보다 가치있다는 말이 있다. 서양사람에게 우리나라 전래의 지게 모습과 사용법을 말로서 설명한다면 큰 인내심이 필요할 것이다.컴퓨터는 그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 ...
영국에 「무공해 녹색마을」 등장
과학동아
l
199203
종이를 재순환시켜 만든 종이로 제작한 것이다. 그 첫머리에는 아프리카 케냐의
속담
한 구절이 나온다. "지구를 잘 다루어라. 그것은 우리의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 아니라, 우리의 아이들이 임대해 준 것이다."CAT는 더 큰 발전을 이루기 위해 현재 1백만파운드의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02
언어의 번역에 얼마나 많은 부수적인 지식이 들어가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특히
속담
과 같이 문화유산이 담겨있는 함축적인 문장은 '전혀'라고 할 정도로 번역이 불가능했다.번역이나 추론과 증명, 물체인식 등에서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실패한 것은 너무도 광범위한 목표를 잡았기 때문이었다. ... ...
게임 통해 타자연습 저절로
과학동아
l
199112
단어연습 과정이 끝나면 본격적인 단계로서 문장을 치는 연습을 하는데 재미있는 우리
속담
들을 하나씩 쳐가면서 초보자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했다. 이외에 현재 화면에서의 속도와 정확도를 표시해 각 글쇠를 익힐 수 있게 구성했다. 단문연습 과정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이야기를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11
먹을 경우에는 방부제의 해가 더 클지도 모른다.'쌀은 인삼보다 보약'이라는 옛
속담
이 있다. 사실 주식 가운데서 쌀만큼 영양적으로 완비된 것도 없다. 따라서 쌀밥과 아울러 여러가지 반찬을 먹고 그것을 잘 소화시킨다면 그것만으로도 건강대책은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11
"뱀은 꿈틀거리는 버릇을 못 버린다". "뱀이 용돼 큰 소리 친다" 등 옛부터 전해오는
속담
들이 많다.뱀은 배암이라고도 하는데 파충강(爬蟲綱) 뱀목(有鱗目) 뱀아목(亞目)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파충류 중에서도 가장 특수화 된 동물군(群)으로 몸이 가늘고 길며, 다리 눈꺼풀 귓구멍 등이 없다. 또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10
잡히는 사냥감이었기 때문에 노루에 관한
속담
이 많다. 예컨대 '노루 잠자듯 한다'는
속담
은 잠을 깊이 자지 못하고 자주 깨는 잠을 말한다. 침착하지 못하고 경솔한 행동을 할 때에는 '노루 제 방귀에 놀라 듯 한다'고 얘기한다.'노루 때리던 막대를 세번이나 국 끓여 먹는다'는 말도 있다. 같은 것을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09
더없이 지극한 모성애로 새끼를 돌본다. 이 밖에도 고슴도치의 특이한 외모때문에 많은
속담
이 전해오고 있다.한국의 고슴도치는 식충목(食虫目) 고슴도치과(科)에 속하는 동물로 학명은 Erinaceus europaeus koreansis이며 영명(英名)은 Korean hedgehog이라고한다.고슴도치는 아프리카의 열대 및 온대지방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08
않는다. 5월에서 8월 까지는 굴의 산란 기간으로 알이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우리
속담
에 '조개젓 단지에 괭이발 드나들 듯'이란 말이 있다. 한 번 맛 들인 것은 잊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조개젓은 풍부한 단백질과 그 단백질이 발효된 아미노산이 들어 있으며 입맛을 내는데 독특한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08
여유있고 후덕하고 각박하지 않은 사회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지금도 매우 유순하다.우리
속담
에 '인심은 뒤주에서 난다'는 말이 있다. 먹을 것이 모자라지 않아야 인심을 쓸 여유가 있지 배가 고파서는 인심을 쓰기 힘들얘기다.극지에 사는 에스키모의 세계에서는 네것 내것의 관념이 희박하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