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
마음
의미
생각
감정
아랫배
belly
d라이브러리
"
복부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사용되고 있다.2점식 벨트를 착용한 채 충돌 사고를 당하면 체중의 3배까지 힘이
복부
에 가해져 장파열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비해 3점식 벨트는 어깨로 힘을 분산시켜 훨씬 위험을 덜어준다. 고속으로 진행되는 자동차 경주에서는 위험이 높은 만큼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싸는 4점식 이상의 ... ...
치밀한 설계 정교한 시공 거미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결정한다. 거미들은 그들의 분수에 맞는 거미집을 짓는다. 다시말해 거미들은 자신의
복부
에 얼마 만큼의 실이 저장돼 있는가를 미리 알고 그에 맞추어 그물 눈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 바람이 부는 경우에 더 뻣뻣한 실을 만든다.중력, 거리, 각도, 풍속 등이 거미집 만들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그 시간이 짧아 알코올을 투여해 파괴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우선 국소마취제로 차단해
복부
나 등쪽에 나타나는 통증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고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면 알코올을 투여한다 신경파괴제를 이용한 방법은 이외에도 흉부와 요부의 교감신경절, 삼차신경분지,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컴퓨터에 익숙한 자유주의적 청년문화'로 이해하면 된다흔히 똥배로 불리는
복부
비만은 피하지방이나 내장지방에 의한 것이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아랫부분에 모인 지방이고 내장지방은 내장에 지방이 달라붙어있는 것이다 대개 여성들의 똥배는 피하지방에 의한 경우가 많고 남성은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보여준다. 이런 점은 공룡이 파충류보다 포유류에 가깝다는 것을 입증한다. 파충류는
복부
(배)와 꼬리를 땅바닥에 대고 기어다니지만 포유류는 체중을 다리에 온전히 싣고 걸어다니는데, 공룡의 발자국은 포유류에 가깝다.◇ 티라노사우루스의 화석을 산소 동위원소로 분석한 결과 신체의 각 부위의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시간이 짧아 알코올을 투여해 파괴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우선 국소마취제로 차단해
복부
나 등쪽에 나타나는 통증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고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면 알코올을 투여한다. 신경파괴제를 이용한 방법은 이외에도 흉부와 요부의 교감신경절, 삼차심경분지, ... ...
2. 운동요법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체지방이 같았다.지방은 전신 운동을 할 때 전체적으로 제거된다. 즉 복근 운동을 한다고
복부
지방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며 다리 또는 팔 운동을 한다고 그 부위의 지방이 제거되지 않는다 ... ...
불로초에 도전 호르몬요법, 젊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많이 개선됐음을 발견했다. 또한 이 호르몬은 체지방 특히 심장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부
지방의 감소를 촉진했다.한편 미국 위스콘신의대 루드만 박사는 61-81세의 건강한 남성 12명에게 6개월간 1주일에 3회씩 성장호르몬을 투여했다. 그 결과 이들의 근육량이 증가하고 지방이 감소했으며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태아의 심음은 임신부가 태동을 느낄 때부터 2-3주일 후에 편이형 청진기를 모체
복부
에 대고 들을 수 있다. 정상적인 심음은 제1 제2음을 합해 1분에 1백20-1백40회. 1백회 이하 혹은 1백60회 이상인 경우는 태아가 질식 등의 이상 증후를 보이는 것이다.최근에는 초음파 도플러법 진단장치가 개발돼 태아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부위가 발보다는 훨씬 민감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민감하다. 또한 여자들은 얼굴이나
복부
의 민감도가 거의 비슷하지만 남자는 그렇지 않다. 피부는 대뇌의 체성감각피질(somatosensory cortex)과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대뇌피질 관련 부분의 면적이 넓을수록 더 높은 민감성을 나타낸다고 한다.피부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