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울
d라이브러리
"
우울증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필자의 연구팀도 69명의 한국인 트위터 사용자의 트윗을 분석해
우울증
에 걸리기 쉬운 사람일수록 부정적인 정서, 그 중에서도 특히 화와 관련된 표현 빈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Part1. 왜 4할 타자가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 빔을 만드는 안테나가 달린 모자를 쓰면 약을 먹지 않아도
우울증
이나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방법들이 어떤 원리로 뇌를 자극하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많은 뇌공학자들이 연구에 새롭게 뛰어들고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약을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하자마자 노트가 내 생각을 읽었는지 이런 글씨가 나타났어. ‘왜 우울한지 아니?’겨울
우울증
? 나가 놀자!난 겨울이 되면 축 처지는 기분이 들고 우울해. 그런데 이게 다 햇빛 때문이래. 겨울이 되면 낮이 짧아져서 햇빛을 쬘 시간이 줄어들어. 그러면 잠이 오게 하는 멜라토닌은 늘어나고 행복한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있는 사람들에게까지 불쾌감을 준답니다. 이렇게 분비물들이 많이 나와서 생기는 병은
우울증
을 일으키기도 해요.내 몸의 수호천사, 분비물!으~, 답답하고 가렵고…, 못 참겠어요! 저 좀 살려 주세요~!없애 달라고 해서 없애 줬더니, 너무 힘든가 보구나? 좋아~! 그럼 이제 이 분비물맨이 활약할 시간이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결과도 있어요.애완동물을 키우면 정서적으로도 도움이 돼요. 실제 애완동물을 키우면
우울증
에 걸릴 확률이 적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1993년 미국에서 개발된 ‘인간과 동물의 상호교화과정’ 프로그램은 소외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애완동물을 키우게 하여 심리 치료를 하기도 한답니다.잠깐!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995년에 로젠펠트 박사는 좌뇌와 우뇌의 알파파 균형을 맞춰주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해
우울증
을 치료하는 실험에 성공했다.한편 1989년에 페니스톤 박사와 쿨코스키박사는 알코올중독이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에게 뉴로피드백 훈련을 시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이외에도 뉴로피드백은 ... ...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1990년대 후반 영국의 의료심사평가원(의료보험수가를 결정하는 곳)은 인지 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의 재발률을 낮추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모했고 영국 옥스포드대 존 티즈테일 박사는 명상을 인지치료에 도입해 큰 효과를 봤다. 김 교수가 2004년 본 책은 티즈데일 박사가 쓴 MBCT 해설서다.“명상은 ... ...
사기꾼이 집 청소에 집착하는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많은 고생을 한듯했다. 몸뿐 아니라 마음에도 병이 와 죽고 싶다는
우울증
을 반복해서 겪었다고 했다. 부정적인 마음은 자연스럽게 아이에게로 전해졌다. 그녀는 뱃속의 아이만 없었다면 이렇게 힘들지 않았을 거라며 아이를 원망했다. 심지어 유산을 고려하기도 했다.다행히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상호작용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결과는 프로이드 심리학의 ‘
우울증
은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증오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안와전두엽피질의 이상 때문에 사랑을 느끼는 능력이 감소하거나 자기혐오의 감정이 증가하거나 혹은 둘 다라 하더라도, 이번 연구는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감정을 처리하는 대상피질이 더 강하게 반응했다.연구자들은 “도시 거주자들은
우울증
에 걸릴 가능성이 39% 더 높고 특히 정신분열증에 걸릴 가능성은 2배나 된다”며 “이런 경향은 유전적 요인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도시의 어떤 환경이 뇌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패턴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