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언장담
큰소리
보증
대성
호언
d라이브러리
"
장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도심으로까지 뛰어드는 무시무시한 결과를 낳는다. 오늘 과학자들이 안전하다고
장담
하는 과학기술이 내일 어떻게 판가름될지 모르는 불확실성, 그리고 과학기술이 없이는 한시도 움직일 수 없는 우리 사회가 통제불능이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은 현대인들에게 어떤 외계인보다도 무서운 공포이다.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과연 바이오리듬처럼 일정한 시기와 진폭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장담
할 수 없다”고 말한다. 통계적으로 볼 때 각종 재해가 발생하는 시기와 위험일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발견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역시 엄격한 통계 처리에 의해 내려진 결론이라고 보기 어렵다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과연 그럴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수입산을 제외한 국산이라면 안심할 수 있을까. 역시
장담
할 수 없다. 현재 국내에서는 1만여개가 넘는 소각시설이 다이옥신에 대한 별다른 규제 없이 가동되고 있다. 또 한국은 ‘국제 농약 시험장’이라 불릴 만큼 숱한 외국 농약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는 없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런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장담
할 수 없다.신종 바이러스의 위협에 대한 세계적 관심은 최근에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세계보건기구는 1996년 ‘세계보건보고서’에서 지구가 전염병으로 연간 1천7백만명이 사망하는 ‘보건위기’에 처해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바 있다. 그해 6월 왕립천문학회에 참석한 그는 최초의 자동계산기를 만들어 보겠다고
장담
했지만 끝내 완성하지는 못했다.배비지의 생각을 처음 실현한 것으로 흔히 1944년 하버드대학 교수인 에이킨(1900-1973)이 만든 ‘마크 1호’를 꼽는다. 평소 배비지의 정신적인 후계자임을 자임했던 그는 IBM과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 정자로 태어난 아기가 제대로 성장할 것인지(예를 들어 임신능력이 있을지) 아무도
장담
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안티노리 박사는 곧바로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에 돌입한 것이다. 안티노리 박사에 따르면 이미 4명이 태어나 자라고 있다고 하니, 이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한편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과연 외계인이 이 그림을 보고 정보를 제대로 해독할 수 있을까. 여기에 대해서는 아무도
장담
할 수 없다.PCS사용 전화 걸고 받기에 한정 - 다양한 기능 알리는 아이콘 대부분 못알아봐PCS 보급률이 높아지는 반면 PCS를 제대로 사용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작년 말 산업자원부에서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예고한 것이 그 최초였다고 한다. 교수는 학생들이 시험날짜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고
장담
했고 한 학생은 죄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이 치러질 수 없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결국은 교수가 호언한 대로 시험이 치러졌다. 이런 논리로 판사의 판결은 옳았음이 입증됐다. 즉 위의 (1)과 (2)는 동시에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번 발표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사람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누구도
장담
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알려준다. 다만 쥐가 질병에 걸린 ‘직접적인’ 원인이 바로 변형된 유전자 때문인지는 명확치 않은 상태다.하지만 한국의 정부는 이런 분위기를 제대로 인식하지 않은 듯하다. 일례로 이 ... ...
인간복제 브레이크 걸 제도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여론은 거셌다. 한 과학자의 '소박한 희망'이 어떤 식으로 변형된 결과를 낳을지 아무도
장담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교수와 견해를 달리 하는 다른 과학자가 어디선가 복제인간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사회의 감시망을 피해 무분별한 인체 실험을 할 수 있지 않을까.하지만 무엇보다 커다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