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교함"(으)로 총 1,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일단 직접 한 번 보시겠어요? 현미경으로 보이는 동글동글한 덩어리가 바로 폐 오가노이드입니다. 줄기세포로 만들었죠.”정영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직접 개발한 오가노이드를 보여주며 설명을 시작했다. 오가노이드는 특정한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만든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군집 위성은 통신용으로만 쓰이는 게 아니에요. 지금도 여러 군집 위성들이 지구 주변을 돌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요. 앞으로는 군집 위성이 대세가 될 거라는데, 어떤 이점이 있기에 군집 위성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걸까요?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지구 주변 우주 환경을 관측하는 군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안어려워요희한한 것들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 긱블은 종종 이상한 부탁을 받습니다. ‘긱블이 만들어주겠죠’가 일종의 밈(meme·모방, 재가공 등으로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특정 콘텐츠)인 마냥 여러 유튜버의 공개 요청을 받곤 하는데요.그런 긱블이 이번엔 과학기술 지식을 소개하는 유명 유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 편집자 주 수학동아는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 매달 천문학 분야의 시민과학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천문대에서 진행하는 왜소은하 찾기 프로젝트의 새로운 소식도 전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가져주세요! 밤하늘은 한결같습니다. 매일 같은 별이 뜨고 지죠. 그런데 가끔은 특별한 이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진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전체를 복제해 증식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국의 생화학자 프랜시스 크릭이 유전정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1958년 제안한 중심원리(central dogma)를 이해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45m 높이에서 트램펄린에 자동차를 떨어뜨리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 45m 높이에서 트램펄린에 자동차를 떨어뜨리면? 조회수 : 1316만 회채널명 : Mark Rober (구독자 1090만 명)제가 어렸을 적, 우리 동네에선 트램펄린을 ‘방방’이라고 불렀어요. 트램펄린의 탄성을 이용하면 땅에서 뛰는 것보다 훨씬 높게 점프할 수 있어서 ‘방방’ 뛰는 것처럼 느껴지거든요. 몸 ... ...
- [과학뉴스]인류 직립 보행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직립 보행은 획기적인 사건이에요. 두 발로 걷게 되면서 두 손이 자유로워졌고, 덕분에 인류는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어요. 두 발로 걷기 위해서는 발이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해야 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 그중에서도 발끝부터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우리가 살을 언급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지방이다. 하지만 생물학적인 관점에서의 살은 지방뿐만 아니라 피부와 뼈 사이에 있는 모든 연조직을 의미한다. 우리 몸의 65%를 차지하는 연조직은 지방, 근육, 근막, 힘줄(tendon), 인대(ligament), 관절낭(articular capsule) 등을 포함하며, 더 넓은 범위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시민과학프로젝트는 과학자가 아닌 대중이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시민이 참여하는 연구는 과학의 최첨단에서 떨어져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 소개할 ‘그래비티 스파이’는 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에 ... ...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수학교육에 이토록 열의가 높은 나라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기 어렵다. 그런데 정작 수학을 불편하게 느끼는 학생이 많은 건 왜 그럴까?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를 만나 한국 수학교육이 직면한 문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특징이 있다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