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 - 이지수 음악감독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탈북한 천재 수학자가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노래를 통해 수학의 아름다움을 증명한다.’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을 백 번 넘게 읽으면서 머릿속에 장면을 계속 떠올렸어요. 인물의 머릿속, 마음속 그리고 처한 상황에 완전히 이입하기 위해서였어요. 그러다 보니 누구나 칠 수 있는 쉬운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파란색 경로는 직선, 붉은색 경로는 곡선이므로 최단 경로는 파란색 경로임을 엄밀하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당연해 보이는데?’라는 직관이 수학에서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수학의 세계에서 참과 거짓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사는 직관이 아니라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라는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해냄에 따라 허수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지요. 이후 가우스 평면이라고도 부르는 ‘복소평면’이 등장해요. 복소평면은 좌표평면의 x축에는 모든 실수를, y축에는 이 실수에 i를 곱한 허수를 ... ...
- [러셀 탐구생활] 달콤한 첫사랑, 수학의 배신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확실한 앎을 주지 못한다면 도대체 확실한 앎이란 가능한 것일까요? 평행선 공준조차 증명하지 못하는 인간이 어떻게 신의 존재나 삶의 가치나 선과 악에 대해서 논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어느덧 러셀은 마냥 행복했던 소년기를 지나, 실존적 고민으로 점철될 사춘기로 돌입하고 있었습니다 ...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어렵지는 않은지 생각도 안 하고 제 연구를 알리기에 급급했어요. 그런데 수학에서 좋은 증명은 다른 사람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하는 거더라고요. 그게 배려였어요.” 결국 서 교수는 쌍곡기하학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 이 논문의 주제를 발전시킨 논문으로 2012년에는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다. 하지만 물체가 세 개만 있어도 중력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것이 19세기에 이미 증명됐다. 문제는 우주선이 목적지에 이르려면 적어도 물체 네 개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 주위에서 가장 큰 천체인 태양, 우주선이 떠난 지구, 목적지, 그리고 우주선 그 자체다. 현실적인 답은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사용하면서, 매개변수의 크기를 키우는 것만으로도 AI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때문에 GPT-4도 매개변수를 늘려 더 큰 AI모델이 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GPT-4가 억 단위를 넘어 1조 혹은 100조 개 매개변수를 가질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2022년 4월에 구글 딥마인드가 공개한 ... ...
- [People] 15년 연구 덕질의 성과! n차원 별자리 정리 증명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교수는 “정수론에서 가장 찾고 싶은 것 중 하나가 소수의 규칙인데 그린-타오 정리 증명으로 그중 하나를 발견한 것”이고, “그런 중요한 정리를 더 큰 수 체계로 확장하는 과정은 복잡한 경우가 있는데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것을 보면 쉽지 않은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좋아해서 1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되는 직각삼각형이 있다는 것을 공식이 아닌 기하학적으로 알 수 있거든요. 기하학적인 증명들이 이삼백 가지나 되지요. 모래를 담아서 진짜 넓이를 구해 볼 수도 있고요. 어떤 일이 몇 번 벌어졌을 때 다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는 규칙을 찾거나 예측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수학이 하는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전제와 공리를 기반으로 엄밀하게 정의하고 논리적으로 증명한다. 이런 수학적 사고가 사람이 상대방과 타협하거나 대화할 때 정말 중요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면을 널리 알리고 싶다. 내가 앞으로 무엇이 될지는 모르겠다. 다만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