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캠핑장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라스트 마일을 아직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는 엘리베이터입니다. 대부분의 실외 이동로봇은 버튼을 누르지 못해 엘리베이터를 탈 수 없습니다. 그래서 로봇 회사들은 실외 이동로봇이 엘리베이터와 연동돼 로봇이 다가가면 엘리베이터가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완전히 다른 분야다. 이 때문에 의사과학자들이 별도의 공학 교육 없이 연구에 투입되면 큰 어려움을 겪는다. KAIST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과기의전원에 의학과 공학을 처음부터 같이 배우는 교육 과정을 만들어, 이후 공학 박사과정에서 전일제 연구를 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년대 초 그곳은 여성 과학자가 남성 동료들과 협력하기 어려운 문화를 갖고 있었다. 가장 큰 식당은 남성만 출입가능했고, 심지어 직원들이 커피를 마시는 휴게실조차 성별에 따라 분리돼 있었다. 동료 연구자들과 실험실 바깥의 공간에서 지적으로 교류하거나 유대 관계를 맺는 일이 구조적으로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학자는 질량분석기 측정법 중 탠덤 질량분석을 사용할까요? 많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목적은 형성된 이온의 분자 구조에 따라서 서로 다른 패턴 이온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해 물질을 분리, 분석하는 것입니다. 가령 아미노산 중에서 둘 다 분자식이 C6H13NO2로 동일하고 질량도 동일한데, ...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1원과 3원뿐이다. 그 외의 금액은 모두 만들 수 있다. 이때 두 동전으로 만들 수 없는 가장 큰 수인 3이 동전 수이고, 이를 찾는 문제가 바로 동전 문제다. 1882년 영국 수학자 제임스 실베스터는 서로소 관계인 두 수가 있을 때 동전 수를 찾는 방법을 공식으로 만들었다. 그 이유는 서로소인 수 ...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 ‘까맣게 탄 면이 있는 팬케이크가 섞여 있을 때 크기가 큰 팬케이크가 아래로 가되 항상 탄 면은 바닥 면이 되도록 배열해야 한다’는 상황을 추가한 ‘탄 팬케이크 문제’, 팬케이크 대신 인도 빵인 로띠로 변형하고 ‘처음에 한 더미로 쌓여 있던 로띠를 불에 구워가며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표적인 토종 매미인 참매미는 ‘맴맴맴맴매앰~’하고 일정한 울음소리로 운다. 몸집이 큰 말매미는 ‘따라 라라~’하고 리듬 없이 운다.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건 수컷이다. 수컷 매미가 작은 몸집으로도 우렁차게 소리 낼 수 있는 비결은 몸속이 절반 이상 비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로 ... ...
- 개념 쏙쏙! 놀이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굴려 점수판 위 원하는 숫자에 올려 봐요.공깃돌이 놓인 곳의 숫자를 이용해서 가장 큰 수를 만드는 사람이 승리! 묶어 묶어! 젤리 가게 젤리 가게에 손님들이 찾아왔어요. 손님이 주문한 젤리를 10개씩 묶고, 부족한 젤리는 색칠해서 채워 보세요. 그다음, 묶음과 낱개는 각각 몇 개인지 빈칸에 ... ...
- [수학 마법사 루스] 새로운 모험, 따끈따끈하게 출발!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는 수학마법사, 루스!마법 학교에서 갈고 닦은 실력으로 전설의 마법사 프랙탈이 남긴 수학 카드를 모을 거야. 카드를 다 모으면 프랙탈의 마법을 풀고 마법사 전당에 내 이름을 올릴 수 있거든. 어떠면 프랙탈을 직접 만나게 될지도 몰라.자, 그럼 여행을 떠나볼까!잠깐! 그런데 웬 소란이지? 저긴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SSC嘄uperconducting Super Collider)’입니다. SSC는 둘레만 약 87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가 될 계획이었습니다. 물리학의 표준모형이 품고 있는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란 기대를 한몸에 받았죠. 10년 동안 약 44억 달러(약 5조 70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건설하기로 계획됐습니다. 그러나 199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