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을 다양하게 구축하는 것은 오늘날 전 세계인의 숙제입니다. 석유나 천연가스에 비해 탄소 배출이 적은 태양광, 풍력, 원자력 등 여러 에너지가 주목받고 있죠. 금속 연소는 그보다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점이 매우 많습니다. 단위 부피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맛있는 냄새를 따라 숲길을 걷던 헨젤과 그레텔은 ‘아무나 와서 드시고 가세요’라는 팻말이 걸린 과자 집을 발견했어요. 며칠을 굶주렸던 둘은 과자를 마구 먹어 치우기 시작했죠. 그런데 갑자기, 헨젤의 온몸에 빨간 두드러기가 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가려움과 복통이 찾아왔죠. 고통스러워 ... ...
- [가상인터뷰] “저도 차 좀 태워주세요!” 히치하이킹으로 확산하는 꽃매미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생물은 갖가지 방식으로 서식지를 넓힌다. 걷거나 날아다니는 동물은 물론, 가만히 있을 것 같은 식물도 씨앗을 바람에 날려보내거나 일부러 동물에 먹혀 영토를 확장한다. 미국에 2014년 상륙해 독특한 방식으로 확산하고 있는 꽃매미(Lycorma delicatula)를 가상인터뷰 했다.Q.(철컥)누구신데 말도 없이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내 몸의 면역력으로 암을 치료한다는 개념의 시작은 18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미국 뉴욕의 외과의사 윌리엄 콜리는 육종이라는 암을 앓던 환자들 중 급성 세균감염을 겪은 이들의 암 덩어리가 서서히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합니다. 이후 콜리는 세균 혼합물로 ‘콜리 톡신’을 만들어서 암환자 ... ...
- [화보] 우주를 헤집는 해파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새까만 우주에 거대한 해파리가 나타났다. 별을 향해 꿈틀거리더니 푸른 촉수를 뻗는다. 해파리 성운(IC 443)을 담은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지구의 밤하늘과 태양계, 그리고 깊은 우주 ... ...
- [뉴스&인터뷰] 기후 비밀을 쫓는 탐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해골 들고 사진을 찍어도 되나요?”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장이 기자에게 물었다. 그에게 ‘고기후연구’는 과거를 비춰 미래를 보는 거울이자 인류의 진화를 이해하는 단서다. 물리학을 인류학과 철학으로 확장하는 열쇠기도 하다. 해골은 바로 그 상징. 기후물리 연 ... ...
- DARE MIGHTY THINGS, 끊임없이 도전할 당신을 위한 문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실패를 겪지 않은 우주 프로젝트는 없었습니다. 미국이 화성에 탐사선을 보낼 때에도, 한국이 누리호(KSLV-II)를 발사할 때도 한 번에 성공하지 않았죠. 그래서 우주개발의 최전선에서 성공을 이끌어낸 연구자들은 실패를 조금 다른 단어로 말합니다. ‘경험’이라고요. 여러분은 어떤 경험을 통해,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지구가 아름답다는 말은 흔히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해서’ 아름답게 됐는지 들을 기회는 드물다. 주상절리, 화산암, 습곡, 피오르, 하천 침식, 삼각주, 차별 침식 등의 개념은 학교에서 배우고 있거나 이미 배웠다. 하지만 점수를 위해 외운 지식은 기억에서 쉽게 사라진다.평생 지리를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루카(LUCA). 누군가의 이름처럼 들리는 이 단어는 ‘모든 생명의 공통 조상 (Last Universal Common Ancestor)’을 줄인 표현이다. 인간, 초파리, 메타세쿼이아, 아메바 등 모든 생물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나타날 이론적인 최초의 생명이 루카다. 루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자들은 생명 현상 중 무엇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제 전파를 눈으로 볼 수 있다는 거야?”수잔의 목소리가 핍의 관자놀이와 공명하는 것만 같았다. 핍은 이마를 손으로 짚었다. 어제 대뇌피질에 넣은 칩이 흔들리는 기분이 들었다. 핍은 우주선에 올라탄 순간부터, 수잔에게 세 번이나 자신이 받은 ‘뇌 가소화’ 시술에 관해 설명해야 했다.뇌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