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뉴스
"
가시
"(으)로 총 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인덕션 렌즈 사라질까…'메타렌즈' 대량생산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양파표피를 촬영한 모습. POTECH 제공 연구진은 우선 심자외선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해
가시
광 영역의 메타렌즈를 생산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심자외선은 자외선 중 파장이 200~280nm로 짧은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만들어진 광원이다. 포토리소그래피는 빛으로 실리콘 웨이퍼 위에 패턴을 입혀 ... ...
힉스 발견 LHC 3배 규모 차세대가속기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CERN 제공 우주 탄생의 비밀에 한 발짝 더 다가가기 위한 '역대급' 입자가속기 개발이
가시
권에 들어왔다.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구축해 '신의 입자'로 불린 힉스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개발을 주도하고 200억유로(약 28조6406억원)가 투입되는 차세대입자가속기(FCC) 건설을 위한 ... ...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과학동아
l
2024.02.17
아래)- 눈(노란 원)과 지의류(빨간 원)를
가시
광선과 자외선으로 각각 촬영한 사진.
가시
광선 촬영에선 눈과 지의류가 비슷한 색을 띠나, 자외선 촬영에선 둘의 색이 확연하게 구분된다. 눈은 자외선을 반사하고, 지의류는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사진은 스코틀랜드 케언곰 국립공원이다. ... ...
의협, 설연휴 후 총파업 강행할 듯…전공의도 집단행동 여론 우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2.08
파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가시
화된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불법적인 집단 휴직에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의사단체의 집단 휴진은 의료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법 59조에 따르면 의료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중단하거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질량이 태양의 2.09~2.71배다. 만일 동반성이 주계열성(현재 태양이 속하는)이라면
가시
광선 범위의 전자기파가 검출돼야 하지만 이 영역의 관측 데이터를 샅샅이 뒤져봐도 찾지 못했다. 따라서 동반성 역시 중성자별 아니면 블랙홀일 것이다. 추정 질량의 중간값이 태양질량의 2.35배이므로 ... ...
[주말N수학] "찰나의 즐거움을 위한 학문?"…수학의 본질이란
수학동아
l
2024.02.03
하는 언어,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발견하는 경이로움이기도 해요. 마치 우리가 보는
가시
광선 안에 수많은 색이 섞여 있듯 수학은 관점에 따라 다양한 매력을 뽐낼 수 있는 무언가라고 생각해요. 백 명의 사람이 있으면 각자가 생각하는 백 개의 수학이 존재하는 것처럼요." Q.(인문학자). 그럼 수학이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설탕과 탄성중합체를 녹이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마찰전기 섬유의 마찰 표면적을 증
가시
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켰다. 땀 전지 섬유에는 이온 소금과 얇은 고분자 필름인 ‘파릴렌-C’를 코팅해 발전 성능을 향상하고 비대칭 습윤성을 유지하도록 했다. 두 섬유를 직조방식으로 결합해 스마트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매복도 어려워졌다. 반면 큰머리 개미가 없는 구역에선 사자가 숨을 수 있는 휘파람
가시
나무 덤불이 많았다. 이 구역에선 다른 구역보다 사냥 성공률이 3배 높았다. 사자의 개체수는 사냥의 성공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얼룩말 등 기존 먹이에 대한 접근이 ... ...
'양자 얽힘'으로 파장대 넘나들며 빛의 상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이를 통해 샘플의 깊이와 너비를 포함한 이미지를 얻어냈다. 3차원 적외선 이미지를
가시
광 측정으로 재구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박희수 양자광학그룹장은 "이번 성과는 양자광학 원리를 이용해 기존 광학 센서의 측정 한계를 돌파한 사례"라며 "센서의 측정시간을 단축하고 분해능을 높여 ... ...
R&D 빠진 바이오파운드리…과학자들 "합성생물학 특성 이해못해 아쉬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것에 대해선 아쉬움을 드러냈다. 바이오파운드리에서 사람이 수행하는 연구사업이 당장
가시
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생물을 다루는 합성생물학은 분야의 특성상 기계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파운드리와는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