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마어마한 반려 동물
팝뉴스
l
2017.06.04
전해진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 동물의 전투력(?)이 엄청난 것이라고 평가한다. 몸통의
굵기
를 보면 사람의 그것과 비슷하다. 아나콘다의 배가 몇 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이 귀여운(?) 동물은 소도 삼킬 수 있을 것 같다고 해외 네티즌들은 분석한다. 영상 속 여성에게는 애완동물이겠지만 ... ...
[수(獸)페셜리스트] “사람 마음을 치료하는 수의사가 되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9
기기를 이용한다. 호흡 마취를 할 때 사용하는 기관지용 호스는 당연히 쓸 수 없다. 호스
굵기
가 햄스터 주둥이만큼 크다. 기관지에 삽관은 커녕 주둥이에 넣는 것도 버겁다. “기존 제품이 없더라도 어떻게든 치료를 해야 하지 않을까요? 햄스터 기관지 삽관 문제의 답은 링겔 바늘에서 찾았어요. ... ...
미세먼지 10배 더 잘 걸러내는 조용한 공기청정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2
수 있는 친환경 알루미늄 전도성 섬유 필터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필터는
굵기
가 매우 가는 섬유를 조밀하게 연결한 ‘헤파(HEPA)’ 필터가 주를 이뤘다. 공기가 필터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구멍보다 큰 먼지는 걸러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작은 구멍으로 공기를 여과하려다 보니 큰 힘이 ... ...
세월호를 인양한 기술, 그것이 알고싶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이용한다. 강철다발을 꼬아 만든 것으로
굵기
에 따라 견딜 수 있는 힘이 달라진다. 5㎝
굵기
의 강철케이블 하나면 최대 하중 160~170t 정도를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안전성을 고려해 연결 방식에 따라 15~30t 정도의 무게를 감당하도록 설계한다. 실제 인양을 할 때엔 배를 단 한 번만 들어 올리면 되므로 ... ...
[생활의 시선 53] 채우고 비우는, 휴일 저녁의 걷기운동
2017.02.18
팔은 팔, 다리는 다리이니 다시 걸었다. 걸을 때마다 다리에 힘을 주었다. 허벅지
굵기
와 수명이 비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지만, 무엇보다도 중늙은이는 되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걸었다. ‘성큼성큼’이라는 의태어가 실감났다. 한 바퀴를 더 돌고 우리 집 아파트 입구까지 그렇게 걸어왔다. ... ...
[생활의 시선 52] 사찰에서 본 털신
2017.02.11
했을뿐더러, 매표소를 지나자마자 우뚝 서 있는 일주문 기둥은 이제껏 보지 못한 엄청난
굵기
의 통나무로 세워져 있어서 이국적이었다. 또 금강문과 사천왕문을 지나 대웅전으로 향하는 길가에는 거북인지 용인지 현무인지조차 알 수 없는 기괴한 만화 캐릭터 같은 형상의 석상이 보란 듯이 ... ...
[돈테크무비] 외계인 문자 창제기의 숨겨진 이야기
2017.02.11
하나의 문장을 나타낸다는 가정을 적용하기도 했고, 유사한 모양의 이미지라도 선의
굵기
에 따라 상황의 위급성의 정도를 나타낸다는 가정 등을 적용하기도 했다. 주목할 것은 그 다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외계인 문자 이미지 샘플들을 가지고 영화 속의 전문가들이 어떻게 분석하게 만들 ... ...
얼음 구름 탄생하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었다!
과학동아
l
2017.01.30
생성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상자 속에 약 6km 높이의 대기 환경을 조성했고, 머리카락
굵기
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을 만큼 작은 ‘고령석(kaolinite)’ 입자가 어는 과정을 3초에 한 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 ...
(영상) [2016 노벨 화학상] 초소형 메모리칩에 쓰이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6.12.12
수 있는지 모션그래픽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분자기계는 머리카락의 1000분 1
굵기
의 아주 작은 분자로 만든 기곕니다. 화학자들은 1960년부터 두 개의 고리가 맞물려 있거나 뫼비우스의 띠처럼 이어지는 흥미로운 분자를 만들어왔는데요. 이런 분자를 결합해서 빛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일정한 ... ...
머리카락 10만분의 1
굵기
‘나노선’도 한 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김영헌 책임연구원이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선을 관찰하고 있다. - 표준연 제공 김영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첨단측정장비센터 책임연구원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선(nano wire)’의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고효율 반도체 등 차세대 전자기기 연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