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금
소수
한모금
미량
소액
적은
근소
뉴스
"
소량
"(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실험실 반복 실험 대체할 로봇 등장..."33배 빨리 촉매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빠르고 신뢰도 있게 진행하도록 대체한 점에서 큰 성과"라며 "향후 나노 촉매 다품종
소량
생산 스마트 실험실을 구현하는 등 국가적 촉매 공유 플랫폼 센터를 완성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 ...
그린수소 생산 '세라믹 전지' 상용화 돌파구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소결조제 물질이 소결체의 밀도를 향상시키거나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량
첨가하는 기능성 물질이 기화돼 전해질로 공급됨으로써 전해질의 소결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기체상의 소결조제는 사례가 극히 드물고 기술적으로도 관찰이 어려워 그동안 프로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안정한 분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울상 단백질이나 핵산으로 이뤄진 약물을 만들면
소량
을 투약해도 약효가 오래 갈 수 있다. 정보 분야에도 거울상 생체분자를 활용할 수 있다.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아도 정보를 오랫동안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RNA에 비하면 DNA는 꽤 안정한 ... ...
현장서 비대면으로 40분 만에 코로나 진단까지 끝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어려워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새로운 고속 열주기 기술을 개발했다.
소량
의 검체만 반복적으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해 유전자를 증폭하는 기술이다. 전체를 반복 가열하거나 냉각하지 않아 기존 장비 대비 4.2배 빠른 속도로 진단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 ...
굴 껍질로 탄소 포집해 산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폐기물은 국내에서 연간 28만t 가량 발생한다. 폐기물로 농업비료 등을 생산하고 있으나
소량
에 불과하다. 폐기물 처리에 어촌 주민과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굴 껍질의 주성분이 칼슘이란 점에 주목했다. 껍질을 잘게 부숴 가루로 만들고 물에 녹여 ... ...
테슬라, 자동차보다 저렴한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머스크 CEO는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은 스스로 세계를 탐색할 지능이 없이 매우 비싸고
소량
만 생산된다"며 "옵티머스는 수백만 대에 달하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2만 달러(약 2900만원) 자동차보다 훨씬 저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테슬라는 지난해 개최한 AI 데이 행사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항암 효과 가지는 천연물 합성 원천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02
세큐린진 D는 다양한 암세포에 높은 항암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지만 자연계에서 극
소량
만 추출돼 물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 교수팀은 자연에서 이뤄지는 세큐리네가 골격의 산화, 재배열을 인공적으로 구현해 천연물을 합성했다. 한 교수는 "이번 연구로 고산화준위 세큐리네가 ... ...
소행성 '류구' 시료 안에서 물방울 확인…지구밖 기원설 뒷받침
연합뉴스
l
2022.09.23
호가 지난 2020년 12월 캡슐에 담아 호주 사막에 떨군 류구 시료는 5.4g으로, 6개팀이
소량
을 나눠받아 연구해왔다. 나카무라 박사의 '돌 분석팀'도 이 중 하나로, 미국과 영국 등 다른 나라 과학자 30여 명을 포함해 약 150명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연구팀은 류구 시료 중 세 번째로 큰 암석 ... ...
인간과 공생하는 모낭충...인류 고대사의 '스토리텔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8.28
먹이를 경쟁해야 할 생물도 없다. 이런 탓에 페로티 교수는 “엄마에게 전달받은 극
소량
의 모낭충은 숙주가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근친교배를 한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모낭충은 매우 단순한 생물이 됐다. 새로운 모낭충을 만날 일이 없으니 새로운 유전자를 얻을 가능성이 적고, 모낭 속에서 ... ...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2022.07.30
” 심 팀장은 다른 업계 사람들을 걱정했다. 원자력산업은 부품이 많이 필요한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이기 때문이다. 2017년 당시 소재와 부품을 공급하는 회사의 약 90%가 중소기업이었다. 해외 원전 수출과 SMR…희망을 되찾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스마트 원전계측제어시스템(SMART MMIS)의 모습.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