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장기간
뉴스
"
오랜기간
"(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볍고 유연하면서 극한환경 견딘다"...NASA, 40여년 만에 새 우주복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공개한 아르테미스 미션 때 쓰일 새 우주복. 액시엄 스페이스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인류의 달 복귀 때 우주인들이 사용할 새 우주복을 공개했다. 새 우주복의 사이즈는 미국 남성과 여성의 최소 90%가 입을 수 있도록 범용 사이즈로 제작됐다. 더 많은 이들이 우주에 ... ...
수면 전 켜두는 희미한 조명, 임신부 당뇨병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면 직전 더 많은 빛에 노출되는 임신부는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당뇨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선 자기 전에 수면용 조명을 키거나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을 멀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민지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원 연구팀은 수 ... ...
'소리 없는 시력 도둑' 녹내장..."안압 낮다고 안심하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3월 12일은 세계녹내장협회가 지정한 '세계 녹내장의 날'이다. 녹내장은 당뇨병성망막증, 황반변성과 함께 대표적인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힌다. 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 장애가 생겨 시신경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병이다. 뚜렷한 초기 증상이 없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박테리아)에 의한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대두 유사 이래 사람과 세균(박테리아)은 함께 살아 왔다. 사람 피부에 붙어 있는 세균은 비누칠을 하고 샤워를 하면 대부분 떨어져 나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보통 때는 아 ... ...
[주말N수학] 日 수학자, K-드라마 보고 n차원 별자리 정리 풀었다?
수학동아
l
2023.02.18
일러스트 제니곽 배우 현빈 주연의 드라마 ‘눈의 여왕’을 보고 알게 된 수학 문제를 15년 동안 연구한 일본 수학자가 있습니다. 세키 신이치로 일본 아오야마 가쿠인대학교 교수가 그 주인공인데요. 2006 필즈상 수상자 테렌스 타오 교수의 연구인 ‘그린-타오 정리’가 드라마에 나온 것을 보고 ... ...
"코로나19 가볍게 앓아도 1년간 장기 손상...젊은 여성 두드러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가벼운 증상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앓은 사람도 바이러스에 의한 장기 손상이 1년 이상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미타바 배네르지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후 얼마나 오랫동안 장기 손상이 이어지 ... ...
지난해 남부지방 기상가뭄, 1974년 이후 최장 기간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기상청 제공 지난해 남부지방의 가뭄이 1974년 이후 가장 오랜 기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세기 내에서 최장 기간 지속된 것이다. 기상청은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 분석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기상가뭄은 기상학적 가뭄의 줄임말로 특정 지역의 최근 6개월 누적 강수량이 과거 같 ... ...
한의학에 과학 결합해 난치질환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복지부)는 한의 기술과 디지털 첨단과학을 융합해 만성질환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한의 디지털 융합기술개발사업’에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복지부가 협업하는 이 사업은 한의 ... ...
현대 과학 논문 '파괴적 혁신'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21세기에 이르러 과학자은 패러다임을 바꾸는 연구보다는 기존의 성과를 잇는 연구를 더 많이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출판된 과학기술 연구 논문의 수가 지난 수십 년 동안 급증했지만 연구 성과의 혁신은 오히려 줄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현대 과학은 다소 실패할 위험이 있 ... ...
[특별기고] '허준이 필즈상' 못다전한 이야기
2022.12.30
필즈상 받는 허준이 교수. 연합뉴스 제공 2022년에 일어난 가장 큰 사건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감격적이었던 것은 허준이 교수의 필즈 메달 수상 소식이었다. 올해 여름을 필즈상 수상 소식이 뜨겁게 달궜지만, 사실 노벨상에 비하면 필즈상은 모르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한해를 정리하는 이 시점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