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최악 페름기 말 대멸종
육지
서 10배가량 더 지속
연합뉴스
l
2021.04.20
같은 양상을 보였을 것으로 생각해 왔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해양 동물의 멸종은 오래간
육지
동물의 멸종에 비하면 구두점에 불과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상과 해양 동물의 멸종 기간이 차이 나는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바다가 일정 수준까지 화학적 변화를 흡수하고 스스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숲 개간 등 토지 용도 변경으로 16억 t이 배출돼 총배출량은 110억 t에 이른다. 반면
육지
에서 34억 t, 바다에서 25억 t이 포집돼 총포집량은 59억 t에 불과하다. 나머지 51억 t은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에 더해진다. 그 결과 해마다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2~3ppm씩 올라가고 있다. 지구시스템과학테이터 ... ...
[화보+]'찰칵' 바다문어가 촉수로 찍은 셀피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나새류’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나새류는 껍데기와 외투강이 없는 해양 동물 종류로
육지
의 민달팽이와 흡사하다. 대만 바다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거품 조류에 파고들어간 나새류를 포착했다. 이 나새류는 5mm 불과하며 매우 느린 움직임을 보인다. 수중사진 가이드∙ 두카 데 폴리 제공 나새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세 가정은 모두 틀렸다. 즉 150만 년 전 당시
육지
로 연결된 베링해를 처음 건너간 건 165만 년 전 시베리아 북동부에 살았던 크레스토프카 계통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컬럼비아매머드 게놈의 약 40%가 크레스토브카 계통에서 온 ... ...
냄새조차 흘리지 않는 늑대의 사냥법
과학동아
l
2021.03.03
들소, 사슴 등 육상동물을 사냥할 때 그들이 지칠 때까지 쫓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육지
와 하천을 오가는 비버를 목표로 할 땐 조금 달랐다. 미국 미네소타대와 캐나다 매니토바대 공동연구팀은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보야져스 국립공원과 그 인근 지역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늑대의 ... ...
3일 퇴근길 서두르세요… 중부지방에 또 '큰 눈' 최대 적설량 15cm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고기압과 북쪽의 차가운 고기압 사이에 자리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형성된 눈구름대가
육지
의 찬 공기를 만나면서 시작된다. 마침 북쪽에서 내려오는 찬공기가 눈구름을 만나 1~2시간 동안 많은 눈을 내리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이번에 내리는 눈의 양이 지상 부근 온도에 따라 크게 ... ...
열대성 저기압 최대 위력 지점 10년마다 30㎞씩 해안에 근접
연합뉴스
l
2021.02.01
시간을 보내다 상륙한 지난 2012년 허리케인 '샌디'나 2019년 허리케인 '도리안' 등처럼
육지
에 직접 상륙하지 않고 비껴가는 열대성 저기압도 상당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왕 박사는 열대성 저기압은 파괴력과 빈도에서 가장 재앙적인 자연 현상 중의 하나라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 ...
악어처럼 헤엄쳤나, 황새처럼 거닐었나…스피노사우루스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물에 콧구멍을 내놓고 숨 쉬기도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날카로운 발톱이 달린 앞발로
육지
를 활보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피노사우루스는 악어보다는 황새처럼 물에 다리를 담그고 터벅터벅 걸어다니며 긴 주둥이로 물고기를 먹으며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 교수는 ... ...
세계의 얼음이 기록적으로 녹고 있다
2021.01.26
것은 해수면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같은 기간 사라진 28조t 가운데 50%는
육지
에서 사라진 얼음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세계의 해수면을 약 35밀리미터(mm) 상승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바닷물이 얼어있는 형태의 해빙도 해수면 상승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 공동 저자인 이소벨 로렌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한다. 폐어의 게놈에는 계면활성제 생합성 관련 유전자가 보통 어류보다 2~3배 많아
육지
동물과 같은 수준으로 존재했다. 또 폐어의 태아발생 과정에서 폐 발생을 조절하는 중요한 유전자인 shh의 발현 패턴도 양서류와 꽤 비슷한 것으로 드러났다. 후각의 진화 역시 뭍에서 적응하는 데 꼭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