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뉴스
"
일
"(으)로 총 53,90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오가노이드로 다양한 약물 효과 한번에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있는 고속 스크리닝 기술로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
일
수 있다. 조
일
주 교수는 “기존에는 뇌 오가노이드에 약물을 투여한 뒤 결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거나 신경 신호 측정이 매우 제한적이었다”며 “실제 뇌세포가 만드는 전기신호를 통해 약물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 ...
폐태양광 패널로 수소·배터리 소재 동시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순도 100% 수소임이 확인됐다. 실제 폐태양광 패널에서 회수한 실리콘을 사용했을 때도 동
일
한 전환율과 순도를 유지했다. 공정의 부산물인 질화규소는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로도 활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다. 실제 제작된 리튬이온전지는 391.5 밀리암페어시(mAh/g)의 용량을 기록했다. 1000회 ... ...
"2050년 암 사망자 1860만명"…저소득국 중심 ‘재앙적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특정 집단의 사망률을 인구 연령구조가 다른 기준(표준인구)과 동
일
하게 조정해 비교하는 사망률 지표를 뜻한다. 연구팀은 “세계 암 사망의 40% 이상이 흡연, 잘못된 식습관, 높은 혈당 등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과 연관되어 있다”며 예방과 조기 진단, 치료 강화의 ... ...
[1% 의사과학자]② "연구과제 끝나면 장비만 남아…연구자에 투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다음은 박경아, 김재령 교수와의
일
문
일
답. Q. 왜 의사과학자의 길을 선택했나. "임상에서 만나는 환자의 절망을 실험실에서 풀어내고 다시 환자에게 돌려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 진료와 연구가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고 싶었다. 또 ... ...
ETRI, 차세대 휴머노이드 브레인 개발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추진하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사업의
일
환으로 진행된다. 총괄은 한국기계연구원이 맡고 있으며 ETRI가 2 세부 연구를 수행 중이다. ... ...
유방암 성장 돕는 효소 최초 규명…맞춤형 치료제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핵심 인자로 암세포의 증식·이동·생존을 돕는다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했다고 25
일
밝혔다. 세포 단백질 변형 효소인 ATE1은 간암이나 전립선암에서 종양 억제자로 작용한다. 반면 흑색종에서는 오히려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상반된 특성을 보인다. 유방암에서의 ATE1 역할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 ...
공정 순서 뒤집어 구현한 맞춤형 3D 뇌 신경칩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3D 신경네트웍 모델용 맞춤형 세포배양 지지체-미세전극칩
일
체형 플랫폼 개요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반도체 공정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방식의 뇌신경칩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뇌질환 연구와 차세대 바이오 컴퓨팅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남윤기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 ...
시끄러운 환경서 듣는 능력, IQ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해결하는 능력이다. 실험 결과 세 그룹 모두에서 음성 인식과 지능 테스트 사이에
일
관된 상관성이 확인됐다. 지적 능력이 뛰어날수록 음성을 인식하는 능력도 우수했다. 연구팀은 ”잘 듣기 위해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대상에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주변 소음을 차단해야 하며 낱말을 ... ...
AI·로봇 기반 플랫폼으로 미지의 화학 반응 규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통해 기존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숨은 반응 경로를 찾아내고 조건 변화에 따라 동
일
한 출발 물질이 전혀 다른 생성물로 전환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대표 사례로 연구팀은 150년 전 보고된 ‘한츠슈 피리딘 합성 반응’을 재조명했다. 항생제와 항암제 등 의약품 제조에 널리 활용되는 이 ... ...
[과기원NOW] UNIST, 고속 충전에도 오래 쓰는 배터리 음극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24
음극 소재를 개발해 고속 충전 조건에서도 배터리 수명을 지속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4
일
밝혔다. 이 소재는 곡면 나노그래핀과 흑연을 1:1 비율로 혼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리튬이온이 먼저 나노그래핀 층을 통해 삽입된 뒤 흑연으로 이동하는 순차 삽입 방식으로 ‘데드 리튬’ 축적을 억제한다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