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이른바 “심층표현형연구(deep phenotyping)”가 계속되면 고인류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의
기능
이 더욱 확실히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왔다…mRNA 백신 개발·여성과학자 주목받을까
2022.09.30
유전자 가위 기술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컴퓨터 계산을 통해 유전자 가위가 인체의 면역
기능
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상할 수 있었다. ●여성 수상자 비율 3%…여성 과학자 활약상도 주목 2015년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을 당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왼쪽)과 에마뉘엘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백혈구 표면에는 병원체를 붙잡아 인체를 보호하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이용해
기능
성 자성나노입자를 만든 것이다. 이 치료법은 어떤 환자나 병원체에도 적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종을 99% 제거할 수 있으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아있는 시간 떠올리면 '소확행' 많아져
2022.09.17
누려오던 일상들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다. 제대로
기능
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주어진 시간은 언제나 제한되어 있지만 이러한 현실을 새삼 직면하게 되었다. 시간은 얼마나 남아있는 걸까.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한 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에너지 분포의 비정상적인 왜곡을 정상화시켜주고 누적된 오염을 해소시켜주는 순
기능
도 무시할 수 없다. 태평양 서쪽 끝자락의 중위도에 위치한 우리에게 태풍은 절대 외면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우리가 기상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올해까지 119년 동안 무려 371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밝혔다. 섬모와 관련 없을 것으로 여겨지던 간극연접 단백질이 다양한 섬모의 형성과
기능
에 필요한 유전자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에 지난달 25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7일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혈관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진화한 결과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 따르면 후각 피로는 신경교종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기능
도 있는 게 아닐까. 냄새 분자가 있는 내내 후각 신경이 작동한다면 계속 IGF1을 분비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양한 체험을 부추기는 사회에 살고 있지만, 꼭 필요하지도 않은데 이것저것 끊임없이 ... ...
한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5일 오전 8시 8분 발사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4일 “다누리는 발사장인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에서 약 한 달간
기능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와 조립 등 사전 작업을 성공리에 모두 완료했다”며 “현재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대기 중”이라고 밝혔다. 다누리는 발사 약 40분 후 로켓에서 분리된다. 이어 ... ...
구글 딥마인드 AI, 거의 모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0
중 98.5%가 포함됐다. 단백질은 생명에 필수적인 요소로, 단백질 구조는 세포에서 그
기능
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하다. 만약 특정 단백질의 구조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면, 단백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해독할 수 있다는 의미다.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이제 구글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식물체(le)는 유전자 엑손의 염기(G->A)가 하나 바뀌어 단백질 아미노산 하나가 바뀌어(A->T)
기능
이 떨어진 결과다. ‘식물과학의 경향’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