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스페셜
"
병
"(으)로 총 80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합
병
증, 독감보다 적지만 치매·심부전·탈모 위험은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코로나19 치료 전담
병
원인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 도착한 구급차에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질
병
통제예방센터(CDC)가 월마다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신종감염
병
’에 출판될 예정이다 ... ...
코로나19 감염 고령층, 중증·사망자 많은 이유는 '과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사실을 규명했다. 최영기 센터장은 “숙주의 연령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
원성과 전파율이 큰 차이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중증 및 고령층 환자를 위한 맞춤형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현장!CES2022]미·중 갈등에 디커플링 현상 드러난 CES…"아직 기업은 협력 여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존 켈리 CTA 수석이사는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팬데믹(전세계적 대유행
병
) 영향으로 중국이 폐쇄되면서 향후에도 개최가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매우 어렵고 힘든 결정이었지만 CES 아시아를 폐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미·중간 갈등의 끝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는게 ... ...
[현장!CES2022]"대면의 가치 여전히 유효. 내년 CES도 현장서 열릴 것"…"상하이CES는 완전 폐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1.10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CES 아시아를 폐지하기로 했다”며 “팬데믹(전세계적 대유행
병
) 영향으로 중국이 폐쇄되면서 향후에도 개최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CTA는 대신 올해 CES 2022의 전시 분야를 확대했다. 대체불가능한토큰(NFT)과 푸드테크(요리기술), 우주기술 등이다.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심장
병
고치는 CAR-T세포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1.09
심장섬유증은 심장의 섬유아세포에 세포외기질 단백질이 과도하게 쌓이면서 생기는
병
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CAR-T세포 치료제는 T세포를 조작할 수 있는 유전정보(mRNA)를 담은 지질나노입자다. 이것을 주사하면 지질나노입자가 mRNA를 T세포까지 배달하고, 유전정보에 따라 T세포는 비정상적으로 ... ...
코로나 백신 mRNA 기술로 '심장 섬유증' T세포 치료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1.07
치료가 불가능한 많은 환자가 효과를 보고 있다. 엡스타인 교수팀은 암 외의 다른
병
에 적용하는 길을 찾았다. 2019년엔 표준 CART 치료법으로 심장의 섬유모세포를 공격하면 심부전으로 고장 난 심장 기능을 되살릴 수 있다는 걸 생쥐 실험에서 확인했다. 그러나 심부전이나 다른 섬유증 ... ...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② 바이러스 침입보다 더 무서운 간접 공격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대상으로 증상 조사와 함께, 자가항체 혈청 검사를 진행했다. 자가항체는 자기 세포를
병
원체로 오해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다. 자가항체 혈청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경우 전신 홍반 루푸스, 류머티즘 관절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그 결과 이들 중 177명(4.79%)이 자가항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파괴돼 생기는 파킨슨
병
에서는 카페인의 아데노신 억제 작용이 주된 역할을 한다. 파킨슨
병
에서는 특히 미세아교세포의 증식이 두드러져 심각한 신경염증으로 이어지는데 카페인이 이를 억제한다. 미세아교세포의 세포막에 분포한 A2A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신호를 차단해 준동을 막는다. ... ...
[인간·공감·AI](끝)일상에서 만나는 AI를 만드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이동하는 경로를 찾고 화장실에 가서 변기 뚜껑을 다시 찾아서 뚜껑의 윗부분을 확인해
병
을 다시 올려놓는 데까지 수많은 임무를 처리해야 한다. 심지어 AI가 한 번도 학습하지 않은 환경이라면 임무 난이도가 더 오른다. 인간은 AI와 달리 잘 모르는 환경에서도 시각 정보를 빠르게 파악해 명령과 ... ...
[표지로 읽는 과학]올해 최고 연구 성과 '로제타폴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9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고, 단백질 이상으로 생기는 알츠하이머 치매나 파킨슨
병
같은 난치성 질환의 원인을 찾거나 치료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 과거 단백질 입체 구조를 알아내려면 X선 결정학이나 극저온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해야 했는데 계산이 복잡하고 시간도 수 개월~ 수 년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