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성
천성
실체
성질
정수
진수
근본
스페셜
"
본질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선택했을까. 수천 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효모를 이용한 에탄올발효(양조와
본질
적으로 같은 과정이다)가 훨씬 쉽고 수율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부탄올은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드는데 반응조건이 까다롭고(산소를 싫어한다) 수율이 낮다.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사람은 상당한 폭의 식단에 적응할 수 있게 진화했다는 말이다. 오늘날 문제의
본질
은 지속적인 칼로리과잉(물론 정제된 당류와 기름 같이 비타민과 미네랄이 거의 없는 빈 칼로리(empty calories)의 비율이 는 게 상황을 악화시켰다)과 신체활동부족 아닐까. 실제 비만과 대사질환이 심각한 나라들은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멘티편] 비투코리아 이창하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9.09
현실화하는 시간을 너무 짧게 잡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간에 쫓기다 보면 처음 생각했던
본질
이 변하는 사태도 생깁니다. 저도 기획이 완료됐을 때 제품이 완성되는 시간까지 2~3개월을 생각했지만, 하드웨어도 그 안에 완성 시키지 못 했고 소프트웨어는 아직도 만들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비율이 비례관계에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즉 이 모든 정황이 케틀웰 실험이
본질
적으로 올바른 것이었음을 보여주는데도 후퍼가 너무 상상력을 발휘했다는 것이다. 한편 케틀웰의 실험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균형있게 평가해온 영국 케임브리지대 마이클 마제루스 교수는 논란이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즉 수유기를 전후해 젖샘세포의 세포핵이 두 개가 되는 변화는 포유류의 진화에서
본질
적인 사건이라는 말이다. 수유기 생쥐의 젖샘조직의 3차원 공초점 현미경 사진(왼쪽). 오른쪽은 왼쪽 작은 네모 안을 확대한 단면 사진으로 세포핵(흰색)이 두 개인 세포들이 뚜렷이 보인다. - 네이처 ... ...
원자력 규제도 고객 중심이 가능할까?
2016.01.28
결국 국민의 행복과 복지 증진입니다”라며 “NSSC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규제의
본질
은 살리되 기업에 대한 서비스 정신을 최우선으로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KINAC의 이와 같은 적극적인 노력이 제2, 제3의 원전 수출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본 기사는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맞는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할 것이다. 그것이 데이터를 활용한 어떤 형태의 마이닝이든
본질
적으로 노정하는 한계다. 사람들이 원하는 배우와 사람들이 바라는 스토리로 만든 영화나 드라마는 쉽게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겠지만 그것은 어쩌면 낯선 스토리와 전복적인 전개가 주는 콘텐츠의 생동성을 ... ...
도심 속 연료전지 발전소 ‘상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런 원리로 만든 전지가 그로브 전지로 현재의 연료전지와
본질
적으로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1959년에는 프란시스 베이컨 박사가 알칼리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발명했다. 이 연료전지는 아폴로 우주선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추진되면서 연료전지가 실용화의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만들어낸 것처럼 야생의 효모를 길들여 오늘날 다양한 특성의 균주를 얻었지만 효모의
본질
적인 특성을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즉 에탄올 생산 효율을 높이고 내성(에탄올 농도가 올라가면 효모도 죽는다)을 키우기는 했지만 에탄올을 만드는 능력 자체는 1억여 년 전 효모가 획득한 것으로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 위키피디아 제공 대표적인 인상주의 화가로 집요하게 빛의
본질
을 탐구한 클로드 모네는 시간대나 날씨, 계절에 따라 동일한 대상도 전혀 다른 색으로 보인다는 ‘당연한’ 사실을 새삼스럽게 인식하고 1890년 ‘노적가리’ 연작을 발표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