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스페셜
"
볼
"(으)로 총 1,9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이상훈 DGIST 교수팀 전자약용 신경자극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진동을 이용해 세포나 혈관을 촬영하는 현미경이다. 조영제 없이도 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다만 현미경에 쓰이는 렌즈는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렌즈를 대신할 빛나는 섬유를 개발해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레이저 앤 포토닉스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를 거쳐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탄소저장 실증에 성공했다. 이들은 화산지대에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을 활용한다. 이산화탄소를 용해한 물을 현무암층에 주입하면 현무암에 포함된 칼슘과 마그네슘, 철 등 광물이 화학반응을 통해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 탄산철로 만들어져 이들이 현무암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다시 돌아온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지명자가 어떻게 마무리할 것인지 두고
볼
일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을 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겉으로만 화려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하지 않고 정해진 파트너와만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면 원하는 현상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이 생체직교화학이다. 생체(Bio-)의 작용기와 서로 마주치지 않는, 직교하는 (orthogonal) 반응이 찰칵 하는 순간에 일어나는 클릭 반응(Click reaction)은 생명현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단백질 합성과 대사 활동 같은 기본적인 세포 기능을 수행한다는 건 상당한 진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대장균이 들어갔을 때 인공세포가 공 모양에서 아메바 같은 형태로 바뀌는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걸 비롯해 연구자들이 만든 결과물이 보여주는 양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어둠의 성격 특성'
2022.10.01
경우 어두운 성격 특성을 가진 사람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려고 애쓴다면 쓴 맛을
볼
가능성이 높다. 자극할수록 더 많은 거짓말과 공격성, 보복 행동을 보이며 이는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라고 생각할 것이므로 반성하거나 후회할 가능성도 낮을 것이다. 이렇게 개인이 대응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망설였던 가장 큰 이유는 “주변 사람들이 나를 무능하고 징징거리기만 하는 사람으로
볼
것 같아서”였다. 도움을 구하는 순간 나의 약점들이 만천하게 드러나고 기대를 져버릴 것만 같다는 두려움이 마음 속에 크게 자리하고 있었다. 물론 약한 소리를 하게 되는 상황인 만큼 약한 인간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딥러닝으로 사계절 북극 해빙을 관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7
'아이스버드'를 통해 얻은 결과와 비교해 신뢰도를 높였다. 기후변화는 이전 1000년간
볼
수 없던 빠른 속도로 북극 해빙을 감소시키고 있다. 연구팀은 해빙 두께에 대한 연중 기록으로 북극의 기후변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미셸 사마도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껌을 씹을 것 같다. 중노년층의 경우 산책을 할 때 껌을 씹으면 유산소 운동 효과를 더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픽사베이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 ... ...
[지구는 살아있다] (마지막회) 사라지는 지구의 역사를 지켜라
2022.08.27
나타나며, 이들이 만들어진 시기도 다양합니다. 고생대 전부터 중생대, 신생대의 암석을
볼
수 있지요. 지질유산 보호는 이제 시작입니다. 지질유산을 알고 보호하기 위한 첫걸음은 이들의 소중함을 알아보는 사람들의 관심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우경식 교수가 2012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