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스페셜
"
시대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1일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국내 전문가들이 독자 기술로 설계부터 핵심부품 개발, 제작, 조립까지 지난 12년 3개월 동안 쌓아온 결실이다. 누리호는 중형 자동차 무게인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 지구저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
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선 한국이 자력으로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의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발사체 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우주발사체 발사국을 의미하는 ‘스페이스클럽’에 11번째, 무게 1t 이상의 실용급 위성 발사 역량으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우주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우리가 만든 발사체로 우주에 쏘아 올렸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21일 하늘문을 열었다. 귀가 찢어질 듯한 굉음을 내며 눈 깜짝할 새 하늘로 올라간 누리호는 700km 상공에서 초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윤 대통령 누리호 성공에 "항우청 설치해 체계적 지원" 논란 '불씨'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3월 경남 사천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한국형 모델인 항공우주청을 만들고 항공우주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이 국내 우주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우주개발 정책 중추 역할을 할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길은 열렸다.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항우연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 발사 성공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이제는 한국이 우주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지 고민해야 할 시기입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21일 누리호 2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이스라엘·이란·북한보다 늦었지만…7번째로 1t급 실용위성 발사 능력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최초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대륙간탄도탄(ICBM)을 개조한 R-7 발사체에 실어 우주
시대
를 열였고 이어 미국이 1958년 주노 로켓에 익스플로러 1호를 실어 우주로 발사했다. 세 번째로 프랑스가 1965년 디아망A 발사체 아스테릭스1호를 실어 우주로 보냈고 일본과 중국이 1970년 각각 오스미 1호와 ... ...
[누리호 2차 발사]개발 참여한 300개 기업들, 민간 주도 우주개발
시대
로 넘어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이달 21일 두 번의 연기 끝에 재도전에 나서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개발 뒤에는 300여 개의 기업이 있었다. 누리호 독자 개발에 필요한 핵심부품 개발과 제작을 수행한 이 기업들의 자긍심 또한 누리호와 함께 높아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나타났다. 연구팀은 머지 않아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기능을 하는 AI 칩을 구성하는
시대
가 올 것으로 기대했다. 이수연 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단장은 “지금의 AI는 인간처럼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잘하기 어려운 게 가장 큰 단점이었다”며 “AI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해결하는 이른바 ‘멀티모달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운영되며 인류의 과학 발전을 이끄는 상징이 됐다. 유엔 산하 우주 관련 기구들도 냉전
시대
에 만들어진 규제의 틀 안에서 커다란 변화 없이 상황을 관리하며 수십 년을 보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이러한 판을 흔드는 변화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재사용 발사체의 등장이다. ... ...
"누구나 자유롭게 돌아다닐 권리가 있다" 보행장애 극복을 꿈꾸는 로봇공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이를 뒷받침할 기반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공 교수는 웨어러블 로봇
시대
에 앞서 인식 개선부터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 교수는 “지금은 웨어러블 로봇을 입고 부끄러워서 집밖에 나갈 수 없다”며 “사회문화적으로 이를 수용하는 분위기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