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어
술어
시한
기한
총칭
말
말씨
스페셜
"
용어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와 자주 비교 대상이 된다. 종종, 아니 많은 사람이 바이러스와 세균, 박테리아 등의
용어
를 혼동한다. 일상생활에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존재들이어서 서로 구분이 쉽지 않다는 이유가 크겠지만,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한글로는 둘 다 ‘ㅂ(비읍)’으로 시작해 발음마저 비슷하다는 점도 영향을 ... ...
[인터뷰]"코로나19 취약계층 보듬기, '나'와 사회' 위한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11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발열 체크를 하고 만난 김 교수는 국내에서는 다소 낯선
용어
인 ‘사회역학’을 먼저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되고 ‘역학’, ‘역학조사’ 같은 단어를 들어 본 적 있을 겁니다. 역학조사는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의 원인을 찾고 이를 막는 방법을 밝히는 ... ...
코로나19 전파 연결고리 '소셜 버블' 끊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한국에서는 생소하나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졌던 해외에서는 3월부터 사회적 거품이라는
용어
를 이동제한 조치를 완화할 때 활용해 왔다. 지난달 8일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한 뉴질랜드가 거품 개념을 처음 선보였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3월 21일 5주간 이동을 제한하는 조치 등을 담은 4단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중 낙인은 이제 그만
2020.07.07
아니다. 오죽하면 ‘체중 낙인(weight stigma)’ 또는 ‘비만 낙인(obesity stigma)’이라는 공식
용어
까지 존재할까. 비만 자체보다 유해한 비만 스트레스 학술지 ‘네이처 의학’ 4월호에는 이제야말로 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체중 낙인을 끝내야 할 때라는 관련 분야 전문가 36명의 공동 선언문이 ... ...
[인간·공감·AI]④ 게임은 AI 기술 연구하기에 가장 좋은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세계 곳곳에 많은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AI라는 말과 함께 딥러닝과 신경망이라는 기술
용어
가 일상적으로 쓰일 만큼 보편화됐다. 또 숨어 있던 인물을 발굴하는 계기도 됐다. 알파고가 바둑에서 인간 챔피언 이세돌 9단을 이기자 AI 반도체 개발 경험이 있고 바둑을 잘 두는 공학자가 주목받았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적다는 것은 쉽게 말해 한쪽에 쏠려 있다는 뜻이고 이는 일상
용어
로 ‘질서정연하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엔트로피가 낮다는 말은 경우의 수가 작다는 뜻이고 이는 질서가 잡혀 있다, 또는 무질서도가 낮다는 말이다. 따라서 엔트로피를 흔히 ‘무질서도’라고도 부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따라 꽤 달랐기 때문이다. 수소발생반응 보조촉매인 로듐/산화크롬은 (결정학
용어
다) 표면에 주로 코팅되는 반면 산소발생반응 보조촉매인 코발트산화물은 표면에 주로 코팅됐다. 따라서 빛을 받은 스트론튬 티타나이트에서 생성된 전자는 방향으로 흐르고 정공은 방향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제공 퀀텀닷은 수㎚(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용어
다.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합성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친환경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첫 번째 상품인 퀀텀닷 TV를 2014년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가벼운 것부터 무거운 순서대로 죽 늘어놓는 것이다. 원소들의 가볍고 무거움을 전문
용어
로 원자량이라 한다. 원자량은 원소들의 상대적인 질량(수소 대비 또는 산소 대비)이다. 그러나 뉼런즈와 샹쿠르투아스의 연구결과는 학계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독일의 율리우스 로타르 마이어(1830~1895)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찾을 수 없는 엉터리 과학을 앞세운다. 과학 상식이 턱없이 부족한 소비자들을 과학
용어
에 대한 신비감을 이용해서 교묘하게 설득한다. 음이온과 은나노가 최고의 살균제로 자리를 잡았다. ‘방부제’는 끔찍하게 두려워하는 사람들도 ‘천연’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살균제’에 대해서는 무방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