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7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통증으로 인한 공포 기억이 CGRP 수용체를 가진 편도핵 신경세포에 저장된다는 사실도
확인
했다. 편도핵에서 CGRP 수용체를 가진 신경세포를 억제했을 때는 통증을 가해도 공포 기억이 저장되지 않는 반면 이 세포를 활성화시키면 정상 상황에서도 두려움을 나타냈다. 한 연구원은 본보와의 e메일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추출해 분석한 결과 비명이 다른 사람 귀에 잘 들리는 이유가 진동수 때문이라는 사실을
확인
했다. 비명은 진동수의 변화가 커 청자에게도 더 잘 전달된다. - 조이앤컨텐츠그룹 제공 사람이 일반적으로 대화할 때의 진동수는 4~5Hz로 거의 일정하다. 하지만 비명은 30~150Hz로 음파가 매우 빠르게 변해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박정원 미국 하버드대 연구원. - 박정원 연구원 제공. 제공 ‘나노 입자의 즐거운 춤을 따라서(Tracking the merry dance of nanoparticles)’. 국제 학술지 ‘ ... 아니라 단백질, 바이러스 등 액상으로 존재하는 모든 물질의 구조를 자연 상태 그대로
확인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 ...
[포토] ‘뉴호라이즌’이 가장 가까이서 촬영한 명왕성 첫 사진
2015.07.17
적도 부근에 하트 모양으로 생긴 ‘톰보 영역’으로 높이 3500m의 산이 솟아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이 산은 생성된 지 1억 년이 안 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태양계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지형 가운데 가장 가까운 시기에 형성된 것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 ...
오늘 우울했니? 휴대전화에 물어봐
2015.07.16
17분이었으나, 기분이 우울하다고 기록됐을 때는 68분으로 대폭 증가했다. 또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통해 사용자들의 이동경로를 5분마다 추적한 결과 우울증에 시달리면 규칙적인 일과를 보내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우울한 감정을 느끼는 사용자는 평소에 비해 덜 ... ...
매머드 때문에…황우석 박사, 박세필 교수 등 고소
2015.07.15
박사가 매머드의 세포를 복제하는 데 참여한 연구진들을 고발한 것으로
확인
됐다. 황 박사가 소속된 수암생명공학연구원 관계자는 15일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황 박사가 박세필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교수와 정형민 건국대 줄기세포교실 교수, 김은영 미래셀바이오 대표 등 3명을 횡령과 ... ...
“저는 잘 살아 있답니다”…명왕성 만난 ‘뉴호라이즌’ 지상에 첫 교신
2015.07.15
드디어 첫 방문자를 맞았군요!”라며 “오늘은 우주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확인
한 위대한 날”이라는 말을 남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교수도 뉴호라이즌의 명왕성 접근 성공을 축하하면서 “수십 억 ㎞ 떨어진 우주에서 이 작은 탐사선이 보내오는 비밀들은 우리 ... ...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수 있는 만큼 추리를 비롯해 그보다 지름이 작은 혜성들이 카이퍼 벨트에서 왔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최 연구원은 “카이퍼 벨트를 구체적으로 알게 되면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전체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미국 연구팀이 만든 0.5mm크기의 ‘미니 심장’. 스스로 박동하는 게 특징이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미국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스스로 박동하 ... 14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이 만든 ‘미니 심장’이 뛰는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고승환 교수(왼쪽)와 홍석준 박사(오른쪽). - 서울대 제공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는 손가락 동작만으로 모니터 화면을 움직이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변형센서를 개발해 영화 속 장면을 현실화 ... ...
이전
1597
1598
1599
1600
1601
1602
1603
1604
1605
다음
공지사항